건설업계는 21일 유동성 지원을 골자로 하는 건설부동산 대책이 발표되자 일단 반기는 분위기다.
중견건설업체 중심으로 신규 대출 중단은 물론 이미 약정된 대출이나 연장 중단 등으로 인해 상당한 자금압박을 받아왔기 때문에 이 문제가 해결되면 상당부분 위기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기 때문이다.
자산담보부기업어음(ABCP)이나 PF(프로젝트파이낸싱)대출 만기연장, 브리지론 보증확대 등 정부가 내놓은 지원책은 기업을 직접적으로 지원하는 프로그램으로 일정부분 도산위험에서 구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다만 수요을 적극적으로 끌어올릴 수 있는 대책이 미흡한 것과 자구노력 등에 대해서는 아쉬움을 나타내고 있다.
대한주택건설협회 이 형 상무는 "이번 대책이 단기 유동성 위기에 처한 건설업체들에게 자금난을 해소하는데 포커스가 맞춰져 있는 것 같다"며 "미분양 매입이나 공공택지 환매 등을 통해 자금숨통을 열어주는 것은 긍정적으로 보이다"고 평했다.
이 상무는 그러나 "미분양 주택에 대해서는 일시적으로 양도세를 면제한다든가 1가구2주택 보유자에 대한 양도세 중과세 배제 등 수요를 획기적으로 끌어올린 만한 대책은 안보인다"며 아쉬움을 표했다.
자구노력과 관련해서도 이 상무는 "이미 업체마다 분양가를 내리거나 팔 수 있는 것은 다 파는등 자구노력이 아니라 하루하루 연명하는 것이 걱정일 정도"라며 "업체들의 자구노력을 강조하는 것은 시장 상황을 잘 모르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 상무는 또 "경기하강국면에서 투기 걱정을 하는 것은 상황 판단이 잘못 된 것 아닌가 하는 생각"이라며 "정부가 너무 조심스럽게 나가는 것 같다"고 지적했다.
GS건설경제연구소 지규현 책임연구원은 "투기지역이나 투기과열지구 해제는 일정 요건이 되면 해제해야 하는 것이기 때문에 어떻게 보면 당연히 해제해야 하는 것"이라며 "이를 수요진작책으로 보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지 연구원은 "미분양 매입은 건설업체를 지원하는 것이지만 근본적으로 주택수요를 진작하는 정책은 미흡하다"면서 "예를 들어 내집마련을 하려는 사람들이 비교적 저렴한 금리로 대출을 받아 집을 구매할 수 있는 정책적 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지 연구원은 또 "수요 진작을 위해서는 필요하다면 다주택자에 대한 규제도 보다 완화해 줄 필요가 있다"면서도 정부지원이 건설업체의 자구노력을 단서로 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D건설의 한 임원은 "위기라고 하는데 말로만 위기인것 같고 정부가 시장을 제대로 모르고 있는 것 같다"면서 "지금은 양도세 완화나 대출 규제 완화 등 과감한 대책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또 "관련 정책들이 찔끔찔끔 나오면서 정책의 효과가 오히려 반감되고 있는 것 같다"면서 "정책의 타이밍도 자꾸 늦는 것 같다"고 덧붙였다.
김영배 기자 young@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