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에너지, 폐가스활용 신소재 상업화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08-10-22 16:07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SK에너지가 지구온난화의 주범인 이산화탄소를 활용한 친환경 신소재 사업에 본격 진출한다.

22일 SK에너지에 따르면, 구자영 P&T(전략기획 및 연구개발)사장과 서문호 아주대 총장이 SK에너지 서린동 본사에서 플라스틱 제조 촉매기술의 특허이전과 연구협력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회사 관계자는 “SK에너지는 총 중량의 44%가 이산화탄소로 이뤄진 친환경 플라스틱 제조기술에 자사의 화학공정과 제조기술의 노하우를 접목해 상업화를 추진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또 “지구온난화의 주범인 이산화탄소를 회수·저장에 그치지 않고 촉매기술을 이용해 플라스틱의 원재료인 폴리머(Polymer)로 전환해 실생활에 유용한 플라스틱 제품으로 만들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기술은 친환경 신소재로 상업화 하는 등 기존 플라스틱 원료인 나프타의 사용절감과 함께 세계적 이슈인 탄소배출권까지 확보할 수 있는 등 획기적 기술로 평가받고 있다.

SK에너지와 아주대가 산학합동으로 진행하는 ‘이산화탄소 플라스틱’은 미국과 일본 등에서 개발하고 있는 유사 기술 보다 촉매 성능이 20배 정도 우수한 세계 최고수준의 기술인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분해성과 무독성, 청정 생산공정 등 친환경적 특성 외에도 투명성과 차단성 등 기존 범용수지 보다 뛰어나 건축용 자재와 포장용 필름, 식품 포장재 등 다양한 분야에 쓰일 전망이다. 

SK에너지는 올해 9월 이명박 대통령 주재로 열린 ‘그린에너지산업 발전 전략 보고회’에서 최태원 회장이 직접 참석해 저탄소 녹색성장과 관련한 SK그룹의 5대 중점 추진 분야 중의 하나인 이번 사업의 ‘이산화탄소 자원화’ 투자를 보고한 바 있다.

일명 그린 폴(Green-Pol)로 불리우는 ‘이산화탄소 플라스틱’은 연소할 때 물과 이산화탄소가 분해되기 때문에 화재발생시 피해를 최소화하는 이점이 있다.

SK에너지는 이 기술을 기반으로 내년에는 상업공정과 제품 용도개발을 위한 파일럿 플랜트(Pilot Plant)를 건설하고 2011년까지는 세계 최초로 수만톤 규모의 상업 생산공장을 건설할 예정이다.

구자영 SK에너지 사장은 “2020년까지 연 200만톤 생산규모를 갖춰 연 5조원 매출을 달성하고 매년 탄소배출권도 100만톤을 확보할 것”이라며 “이번 사업을 시작으로 저탄소 녹생성장을 위한 신성장동력 확보에 지속적 투자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준성 기자 fresh@ 

<저작권자(c)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