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가구주의 소득과 지출이 30~40대를 거쳐 증가하다가 55세 이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빈곤율의 경우 55세이상의 가구가 20~30대보다 5배나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23일 통계개발원이 발표한 '우리나라 가구의 생애소득 지출 현황과 소득 분배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1986년 당시 55세 이상 노년층 가구의 1986~2007년 평균 지니계수는 0.390, 빈곤율은 43.86%로 조사돼 전 연령대 대비 높은 수준을 보였다.
.
55세이상의 1986~2007년간 평균빈곤율은 43.86%로 25~29세의 8.44%, 30~34세의 8.43%에 비해 5배나 높았다.
통계개발원 관계자는 "가구주 연령이 약 60세가 되는 해부터 빈곤율이 급격히 증가하기 시작한다"며 "실제로 1986년 당시 40대 계층은 2003년에, 50~54세 계층은 1997년에 빈곤율이 20%대로 급격히 증가했다"고 말했다.
반면 공적·사적 보조금 등 이전소득의 경우 30대 중반부터 늘어나기 시작해 60세 이상에서 급증했다. 노년층일수록 타인·정부에 대한 경제 의존도가 높다는 분석이다.
생애지출은 청년기(20대)보다 연령이 높아질수록 지출이 증가하다가 노년층이 되면서 다시 감소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부문별로는 교육비의 경우 20대부터 지속적으로 늘다가 50대가 넘어가면 감소하는데 반면 의료비는 연령이 증가할수록 계속 증가했다. 55세 이상 노인 가구의 지출 가운데 보건의료비 비중은 8.8% 수준이었다.
한편 여성가구주 가구의 지니계수는 기간평균 0.335로 남성가구주 가구(0.279)보다 0.06 높았다. 이는 여성가구주 가구의 상대적 소득격차가 남성가구주 가구보다 높은 것을 의미한다.
변해정 기자 hjpyun@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