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주식형펀드 5주만에 플러스 수익률

해외주식형은 글로벌증시 부진 탓 손실지속

국내주식형펀드는 미국과 통화스와프협정 체결을 호재로 코스피가 1100선을 회복한 데 힘입어 5주 만에 플러스 수익률로 돌아섰다. 반면 해외주식형펀드는 글로벌증시 부진으로 5주째 손실을 이어갔다.

2일 펀드평가업체 제로인에 따르면 지난달 31일 기준 국내주식형펀드 가운데 설정액 10억원 이상인 455개 일반주식형펀드는 주간평균 수익률이 5.43%를 기록했다.

코스피200지수를 추종하는 인덱스펀드(87개)도 4.59%로 양호했고 배당주펀드(33개)는 2.82%를 나타냈다. 이에 비해 증시가 대형주 위주로 반등하면서 중소형주펀드(18개)는 -2.64%로 부진했다.

순자산 100억원과 운용기간 1개월 이상인 363개 국내주식형펀드 가운데 269개가 코스피 주간상승률인 3.34%를 웃돌았다.

펀드별로는 '한국투자네비게이터주식 1class A'이 주간 수익률 8.50%로 1위를 차지했다. '한국부자아빠성장주식증권W- 1ClassA'은 8.27%로 뒤를 이었다.

월간 수익률은 '미래에셋라이프사이클3040연금혼합형자 1'이 -12.44%로 선두였다.

해외주식형펀드는 주간평균수익률이 -5.22%를 기록했다.

글로벌펀드(63개)와 신흥국펀드(117개)는 각각 -3.94%와 -5.10%를 기록했다.

중국펀드(95개)는 현지 증시가 경기부양책 발표에도 글로벌 경기침체와 기업실적 악화 우려로 하락하면서 -4.04%를 나타냈다.

인도펀드(27개)는 글로벌 경기침체 우려 속에 현지 증시가 급락세를 지속하면서 -17.09%로 가장 부진했다. 러시아펀드(19개)도 -8.00%에 그쳤다.

반면 브라질펀드(19개)는 미국과 통화스와프 체결을 호재로 현지 증시가 반등하면서 1.44%로 선전했다.

북미펀드(7개)는 미국 증시가 널뛰기 장세를 보인 가운데 -0.06%를 나타냈다.

농산물펀드인 '산은짐로저스애그리인덱스파생 1CLASSA'가 주간수익률 13.85%로 1위를 차지했다. 금펀드인 'SH골드파생상품 1-A'가 13.64%로 뒤를 이었다.

월간 수익률은 일본 주식에 투자하는 상장지수펀드(ETF)인 '삼성KODEX JAPAN'이 -11.06%로 1위에 올랐다.

채권형펀드는 한국은행 기준금리 인하와 한미 통화스와프 체결을 호재로 채권금리가 하락하면서 양호한 성적을 나타냈다.

일반채권펀드(35개)와 일반중기채권펀드(12개)는 각각 0.07%와 0.12%를 기록했으며 우량채권펀드(14개)는 0.30%로 가장 양호했다.

장기주택마련펀드인 'KB장기주택마련채권 1'과 '삼성장기주택마련채권 1'이 주간 수익률 0.69%와 0.65%로 각각 1,2위를 차지했다. 두 상품은 월간수익률에서도 각각 3.71%와 3.52%로 선두를 달렸다.
 
일반주식혼합펀드(73개)와 일반채권혼합펀드(211개)는 각각 2.50%와 1.50%를 기록했다.
 
조준영 기자 jjy@ajnews.co.kr
<ⓒ'아주경제'(www.ajnews.co.kr) 무단 전재 및 배포 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