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F대출 부실심각..금융불안 `뇌관'


중견 건설업체가 한때 1차 부도 위기에 처하는 등 건설업계의 경영난이 심각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부동산발 금융위기에 대한 우려가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부동산경기 침체로 건설업체의 줄부도가 현실로 나타나면 금융회사의 대출 부실로 직결되고 미국발 금융위기에서는 한숨을 돌렸지만 여전히 살얼음판을 걷는 금융시장에 충격을 줄 수 있다.

정부가 서둘러 추가 대책을 모색하는 것도 이런 불안감을 반영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일부 건설사가 부도난다 해도 금융위기로 이어질 가능성은 작지만 실물경제 침체와 신용경색을 심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부도 공포의 확산을 막는데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주문했다.

◇ PF대출 금융불안 도화선되나

2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6월 말 현재 은행들의 건설업체 대출 잔액은 47조5천억 원으로, 올해 들어 중소 건설사들의 부도 탓에 이미 연체율에 경고등이 들어왔다.

올 1월부터 9월까지 부도난 종합건설업체와 전문건설업체는 총 251개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47.6% 급증했다. 아직 100대 건설업체 중에 부도난 곳은 없으나 중소 건설업체의 은행 대출 연체율은 작년 말 1.46%에서 올 6월 말 2.26%로 뛰었다.

이런 상황에서 시공능력평가 41위인 신성건설이 자금난을 겪는다는 소식은 금융시장의 불안감을 키울 수밖에 없다.

더 큰 문제는 금융회사들이 최근 몇 년간 경쟁적으로 취급한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금융의 부실 우려다. 금융권의 PF 금융 규모는 6월 말 기준으로 97조1천억 원이며 이중 대출이 78조9천억 원,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이 15조3천억 원으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은행권의 PF 대출 연체율은 0.64%로 나은 편이지만 저축은행의 연체율은 14.3%에 달한다. 증권사와 여신전문금융회사의 PF 대출 연체율은 각각 6.57%, 4.2%로 은행보다 높은 수준이다.

2004년부터 PF 금융이 급증했고 건설업체의 PF 사업기간이 길어야 5년인 점을 고려할 때 지금부터 만기가 몰리고 있어 건설사와 금융회사 모두에 큰 부담이 되고 있다.

은행권의 ABCP 만기는 올 4분기에만 2조1천억 원에 달하며 내년에는 4조5천 억 원, 2010년에는 3조1천억 원이다. 저축은행까지 합하면 4분기 ACBP 만기 도래액은 2조6천억 원이나 된다. 부동산 침체의 골이 깊어지면 부실로 이어질 가능성이 큰 상황이다.

◇ 금융권 `비상'.."불똥 확산 막아야"

금융회사들은 건설업 부실에 대비해 신규 PF 대출을 자제하는 등 특별 관리에 나서고 있다.

하나은행은 건설업종 대출에 대해서는 별도의 한도를 두고 있으며 국민은행은 건설업을 경기민감 업종으로 지정해 주기적으로 신용도를 평가하고 있다.

은행들은 일시적인 유동성 위기에 몰린 건설업체에 대해서는 만기 연장이나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 등을 추진하고 있으며 정부도 이를 독려하고 있다.

저축은행들은 PF 대출 중에 사업성이 뛰어난 곳은 만기를 연장하고 있으나 그렇지 않은 곳은 자금을 회수하거나 손실 처리하고 있다. 저축은행들은 작년 6월 말 전체 대출의 29.0%까지 차지하던 PF 대출의 비중을 올 6월 말에는 24.1%로 줄였다.

정부는 미분양 아파트와 토지 매입을 계획하고 있고 건설사 부도 때 아파트 계약자와 하도급업체의 피해를 막기 위한 방안도 추진 중이다. 저축은행이 관련된 PF 사업장 899개에 대한 전수 조사 결과를 토대로 대손충당금 추가 적립이나 증자 등의 조치를 취할 예정이다.

전문가들은 세계 금융위기가 해소되지 않은 상황에서 건설업 대출 부실이 심화하고 도미노 부도가 현실화하면 금융시장의 불안이 커지게 된다며 이를 차단하는 게 급선무라고 지적했다.

삼성경제연구소 전효찬 수석연구원은 "건설사의 부도가 잇따르면 금융기관이 함께 부실화하면서 신용경색이 심해질 수 있다"며 "은행은 손실을 어느 정도 감내할 수 있지만 규모가 작은 저축은행은 큰 타격을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한양대 하준경 교수는 "건설업체의 경영 부실에 원인이 있다면 퇴출시키는 것이 시장경제 원리에 맞다"며 "다만 불똥이 멀쩡한 회사로 튀지 않도록 파급 효과를 차단하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하 교수는 "은행들은 그동안 벌어놓은 것도 있고 충당금도 쌓았다"며 "금융권이 감당하지 못할 정도의 큰 충격을 받을 것으로 보기는 힘들다"고 말했다.
//연합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