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명 무역과 투자와 관련한 새로운 장벽을 만들지 않는다는 `동결(Stand-Still) 선언'에 동참해 달라고 제안한 것이다.
이 대통령은 15일(한국시간) 미국 워싱턴에서 열리고 있는 G20 금융정상회의 기조연설에 앞서 사전 배포한 원고에서 "최근 어려운 경제상황으로 인해 보호무역주의가 확산할 우려가 있으며 신흥경제국이 이에 따른 피해를 더 많이 보게 된다"면서 이 같은 방안을 제시했다.
이 같은 발언은 국제금융위기로 각 국이 폐쇄적인 경제 운용을 할 경우 국제 무역과 투자가 급감하면서 신흥경제국을 포함한 세계 경제가 나락으로 추락할 수 있다는 사실을 강력 경고한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이 대통령은 "현재 지구촌은 1930년대 대공황 이래 가장 심각한 금융위기와 실물경기 침체의 위기를 맞고 있다"고 지적한 뒤 "주요 선진국들이 통화스와프를 신흥경제국에까지 확대하고 외화유동성을 필요로 하는 신흥경제국에 혜택이 돌아갈 수 있도록 IMF의 재원을 확충해야 한다"는 방안을 제시했다.
이 대통령은 또 우리나라의 10년전 외환위기 경험을 소개하면서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선 긴밀한 국제공조 아래 필요한 조치들이 선제적이고 과감하며, 충분하게 이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이 대통령은 "아직 합의에 이르지 못하고 있는 세계무역기구(WTO) DDA 협상이 조속히 마무리될 수 있도록 G20이 앞장서야 한다"고 밝혔다.
박재붕 기자 pjb@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