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서 국제통화기금(IMF) 구제금융사태 당시처럼 전사업에 있어 강력한 구조조정이 이뤄질 경우 코스피지수가 500선까지 하락한 후 510∼1,020 사이 박스권을 장기 횡보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이는 중국의 경제성장률이 5%대 이하로 하락하고 한국의 주택가격이 고점 대비 30% 이상 추락하는 동시에 미국 경기가 정부개입 없이 경착륙했을 경우를 전제한 시나리오로 발생확률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평가된다.
신영증권은 21일 `2009년 증시전망' 보고서에서 IMF 구제금융사태 당시처럼 전산업의 강한 구조조정이 이뤄지면 가동률 급감, 설비투자 축소, 보유자산의 공격적인 매각 등으로 인해 주가순자산비율(PBR) 1배 이하가 정당화 될 수 있다고 밝혔다.
김세중 투자전략팀장은 "IMF식 구조조정은 기업의 자기자본순이익률(ROE)을 다시 1990년대 수준으로 회귀시켜 10%로 떨어뜨리고 장기기업 이익증가율도 6.6%로 낮춰 적정한 PBR를 0.6배 수준으로 제한할 것"이라며 "1999년도에는 글로벌 경기의 호조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전방위적 구조조정이 기업수익의 회복으로 연결됐지만 지금은 외부 경기여건이 더 악화된 상태"라고 설명했다.
김 팀장은 그러나 우리경제는 과거 외환위기 당시와 달리 강제적 금리인상이나 긴축의 외압이 없는데다 금리를 인하할만한 충분한 여력과 재정을 투입할만한 기초체력이 있다고 강조했다.
또 중국은 적극적인 재정정책을 동원해 성장률을 지지 중이며, 우리나라 주택가격은 지난 30년간 고점대비 20% 이상 하락한 적이 없고 미국의 정책개입은 더욱 강화되고 있는 만큼 IMF식 구조조정 시나리오의 발생확률은 상대적으로 낮아보인다고 말했다.
김 팀장은 "IMF식 전방위적 구조조정이 아닌 부동산, 건설, 조선, 한계 금융기관에 대한 부분적인 구조조정이 이뤄진다면 내년 예상 코스피지수 밴드는 900∼1,450선으로, 올해말까지는 일시적으로 전저점을 하회할 가능성이 있다"며 "주식시장의 바닥다지기는 내년 1분기까지 이어지고 그 이후 증시가 회복세로 돌아설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