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자회담 재개합의 어떻게 이뤄졌나


   북핵 6자회담이 북한의 핵시설 불능화 역행조치 등 우여곡절을 겪은 끝에 5개월만에 재개된다.

   콘돌리자 라이스 미 국무장관은 23일(현지시간) 페루 리마에서 열린 APEC(아태경제협력체) 16차 회의에 참석한 뒤 귀국하면서 기자들과 만나 6자회담이 다음달 8일 개최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6자회담 의장국인 중국도 이르면 24일 중 회담 일정을 공식 발표할 것으로 알려졌다.

   6자회담이 지난 7월12일 수석대표회의 이후 5개월만에 열리게 되기까지는 적잖은 시련이 있었다.

   남북한과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등 6개국은 당시 수석대표회의에서 10월말까지 비핵화 2단계(북한의 핵시설 불능화 및 이에 상응한 나머지 참가국들의 중유지원)를 완료하기로 합의했다.

   하지만 시료채취 등에 대한 이견으로 북미 간 검증협의가 답보상태에 머물자 미국은 북한에 대한 테러지원국 해제조치를 유보했고 6자회담은 진전을 이루지 못했다.

   특히 북한은 테러지원국 해제조치가 계속 미뤄지자 8월 중순 이후 불능화 작업을 중단한데 이어 영변에 머물던 미국 및 국제원자력기구(IAEA) 요원의 현장접근을 차단하는 한편 재처리시설에 핵물질을 주입하겠다고 발표하는 등 `벼랑끝 전술'로 회담을 위기국면으로 몰아갔다.

   북한의 압박에 결국 미국 수석대표인 크리스토퍼 힐 국무부 차관보는 10월1∼3일 평양을 방문, 북한과 검증협의를 가졌고 미국은 일주일 뒤 북한과 `시료채취를 포함한 과학적 절차에 의한 검증'에 합의했다고 발표하고 북한을 테러지원국에서 해제하면서 회담은 다시 급물살을 타는듯 했다.

   그러나 북한이 이달 중순 외무성 대변인 담화를 통해 `현 단계에서 시료채취를 허용하지 않겠다'고 발표하면서 회담에는 다시 암운이 드리웠다.

   부시 행정부의 임기가 두달 정도밖에 남지 않은 상황에서 시료채취를 거부한다는 북한의 발표까지 터져나오자 정부 당국자들 사이에서도 `이래서야 연내 회담이 가능하겠느냐'는 회의감이 돌았다.

   하지만 미국은 북한의 발표에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은 채 회담 재개를 위해 물밑작업을 계속했다는 후문이다. 미국은 `성과를 담보할 수 없으면 회담을 열 수 없다'는 입장이던 의장국 중국을 설득하고 시큰둥하던 일본의 협조도 얻었다.

   에너지 사정이 급한 북한도 중유제공 일정도 논의될 회담 개최에 줄곧 긍정적인 태도를 취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조지 부시 미 대통령은 경제위기로 바쁜 와중에서도 APEC을 계기로 한.중.일.러 정상을 만나 6자회담 재개를 위한 마지막 노력을 쏟았다.

   외교 소식통은 "이렇다할 외교성과없이 임기를 마칠 상황인 조지 부시 대통령이 북핵문제에 있어서만큼은 성과를 얻고 싶지 않았겠느냐"고 말했다.

   통상 의장국인 중국이 회담 일정을 발표해온 것과 달리 이번에는 백악관에서 `내달 초 개최 합의'를 공식 발표하고 라이스 국무장관이 구체적인 회담 일정을 밝힌 것만 봐도 시간이 별로없는 부시 행정부의 조급함을 읽을 수 있다는게 외교가의 평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