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는 24일 북한의 최근 잇단 대남(對南) 압박 조치와 관련, "남북간 진전된 대화가 가능할 때까지 차분하게 대응한다는 방침"이라고 밝혔다.
청와대는 그러나 북한이 이날 오후 개성관광 및 남북철도 운행 중단 등 사실상 남북관계를 전면 차단하는 고강도 조치를 통보해오자 안보관계장관들을 긴급 소집해 대응책을 논의하는 등 긴박한 움직임을 보였다.
청와대 외교안보라인 핵심 참모는 이날 연합뉴스와의 전화통화에서 "오늘 북한당국이 발표한 내용은 어느정도 예상했던 범위"라면서 "그러나 우리 정부는 이에 대해 심각한 유감의 뜻을 표명한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그러면서 "지금 상태에서 남북이 새로운 돌파구를 마련하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며 "따라서 현재로선 서로를 과도하게 자극하지 않은 채 긴 호흡을 갖는 게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그는 또 "북측이 최근 선전기구 등을 통해 위협적 발언을 쏟아내고 일부 압박조치를 실행에 옮기고 있으나 크게 상황이 바뀌진 않았다는 게 우리측 판단"이라면서 "오히려 남북관계를 하나씩 풀어가는 수순으로 볼 수도 있기 때문에 남북이 생산성있는 대화를 할 수 있는 단계가 올 때까지 기다릴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는 이명박 대통령이 지난 12일 언론사 논설실장 오찬간담회에서 "기다리는 것도 때론 전략"이라고 밝힌 것과 같은 맥락으로, 북한의 전략에 말리지 않고 대북 정책기조의 원칙을 고수하겠다는 의지를 밝힌 것으로 해석된다.
이 관계자는 또 북한 조국평화통일위원회가 지난 22일 대변인 담화를 통해 이 대통령의 통일 관련 발언을 맹비난한 것에 대해서도 "대남 선전기구의 통상적 대응방식"이라면서 "담화를 보면 `서로 화해하고 단합해 평화적으로 통일을 실현해야 한다'는 내용이 있는데 이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정부는 이날 오후 청와대에서 정정길 대통령실장 주재로 안보관계장관회의를 열고 북한측 고강도 조치에 대한 우리측 입장을 정리하고 대응책을 논의했다.
이날 회의에는 이상희 국방부 장관, 김하중 통일부 장관, 김성호 국가정보원장, 조중표 국무총리실장, 권종락 외교통상부 제1차관, 맹형규 청와대 정무수석, 김태효 대외전략비서관 등이 참석한 것으로 전해졌다.
청와대 외교안보라인은 또 이날 오후 미국 로스앤젤레스에 도착한 이명박 대통령에게 북한 동향을 긴급 보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청와대의 한 관계자는 콘돌리자 라이스 미 국무장관이 내달 8일 중국 베이징(北京)에서 북핵 6자회담이 개최된다고 발표한 것에 대해 "의장국인 중국의 공식발표를 기다리고 있다"면서 "그러나 미 정부가 발표했다면 이미 중국과 북한 사이에 어느 정도 조율이 있지 않았겠느냐"고 관측했다.
그는 또 "북한이 에너지지원 등에 대해 여전히 관심을 갖고 있기 때문에 최근 대남압박과 6자회담은 별개로 접근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분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