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시장의 원활한 유동성 공급을 목적으로 한 채권시장안정펀드 설립이 본격화되고 있다.
금융위원회는 총 10조원 규모의 채권시장안정펀드 출범을 위해 출자금융회사들간 합의에 따라 채권시장안정펀드 설립준비단을 구성했다고 9일 밝혔다.
채권시장안정펀드 설립준비단은 전국은행연합회 부회장을 단장으로 생명보험협회, 손해보험협회 및 한국증권업협회 부회장 등 협회대표 4인 및 금융발전심의회위원 3인 등 총 7인으로 구성됐다.
이에 앞서 준비단은 8일 제1차 회의를 개최해 채권시장안정펀드를 3년만기 중도환매 금지의 사모펀드로서 '펀드 오브 펀즈(Fund of Funds)' 형태로 운영하기로 결정했다.
'펀드 오브 펀즈' 형태란 통합펀드에서 자금을 총괄 운용하되 투자상품별(은행채, 회사채, 여신전문회사채.할부채 등)로 하부 펀드를 구성해 자금을 운용하는 것이다.
자산운용사는 통합펀드 운용사 1개사, 하위 펀드 운용사 8개사 등 총 9개사와 수탁회사와 사무관리회사 각각 1개사로 결정했다.
기관별 출자액은 산업은행이 2조원으로 가장 많고 국민은행 1조300억원, 우리은행 8700억원, 신한은행 7900억원, 농협 7500억원, 하나은행 5900억원, 기업은행 5300억원, 외환은행 3900억원, SC제일은행 3000억원, 한국씨티은행 2400억원 등이다.
업권별 출자액은 산업은행 포함한 은행권이 8조원, 생명보험 1조3000억원, 손해보험 3000억원, 증권업 5000억원이다. 은행권은 지난주 출자 약정서를 모두 체결했으나 기타 업권은 내부 결제 절차를 진행중이다.
또 준비단은 투자자입장에서 운용사의 충실한 약관 이행 여부 등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최다 출자기관인 산업은행 수석부행장을 위원장으로 한 '투자리스크관리위원회'를 구성키로 했다.
위원은 최다 출자자(산은)를 제외한 출자금액 기준 상위 5개 출자기관별 부기관장(5인), 생보·손보·증권 업권별 최다출자기관 부기관장(3인), 통합펀드 자산운용사 2인, 금융위 및 한은 추천 인사 각 1인(2인)으로 구성됐다.
준비단은 오는 10일 각 협회별 투자자들에게 펀드운용에 대한 설명회를 개최하고 투자자간 계약을 추진한 뒤 이달 중순께 펀드 설립 및 운용을 개시할 예정이다.
변해정 기자 hjpyun@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