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일랜드산 돼지고기와 이탈리아산 양고기, 중국산 장어 등에서 연이어 발암물질인 다이옥신 등이 검출되면서 그 파장이 전방위로 확대되고 있다.
아일랜드 정부는 자국 농가 10여 곳에서 길러 판매한 돼지고기에서 다이옥신이 검출됐다고 지난 7일 발표했다. 4일 후인 11일에는 이탈리아의 농가 8곳에서 기르는 양에서 다량의 다이옥신이 나왔다.
지난 2월 발암의심물질 등이 들어 있는 중국산 장어 23t이 시중에 유통된 바 있다.
소비자들은 그동안 GMO(유전자변형식품), 광우병 파동이 있었던 터라 식품 안정성에 대한 불신이 더욱 높아만 가고 있다.
시민단체인 먹거리사랑시민연합은 “정부는 식품원료에서부터 가공식품에 이르기까지 다이옥신 등 맹독성 환경호르몬 검사를 즉각 실시하라”며 “문제가 터져야만 뒷수습에 분주한 모습을 지양해야 한다”고 강력하게 촉구했다.
농림수산식품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청은 제일 먼저 불거진 아일랜드 돼지고기 사태 수습을 위해 전면 회수 작전에 들어갔다.
하지만 현재까지 시중에 유통된 45.7t 중 12.9t만 회수 조치됐다. 나머지는 추적중이다. 식당으로 들어간 9.1t 중 7.7t은 이미 소비자들에 의해 섭취된 상태다.
정부가 멜라민 파동 때처럼 현재까지 추적된 식당과 유통업체의 리스트를 공개하지 않자, ‘감싸기’ 논란이 일고 있다.
이에 대해 강대진 농식품부 축산위생팀 사무관은 “명단 공개 여부를 두고 내부적으로 고민이 많았다”며 “이미 유럽에서 다이옥신 검사가 이뤄진 터라 예방 차원에서 회수 조치를 취한 것이므로 선의의 피해자가 생길 수 있어 공개하지 않기로 했다”고 말했다.
현재까지 밝혀진 식당 9곳은 식품의약품안전청이, 유통업체 12곳은 농림식품부에서 외부에 드러내지 않은 채 조사 및 회수 작업 등을 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정부가 수입산 식품이 유통되기 전에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검사를 실시해 국민의 건강을 사전에 지켜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김은진 기자 happyny777@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