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 건전성 기준, 국민·신한 '통과' 우리·하나 '미달'

정부가 은행권의 건전성 강화를 요구하고 있는 가운데 국민은행과 신한은행은 정부 기준을 충족했지만 우리은행과 하나은행은 기준에 미달돼 추가적인 자본 확충이 시급한 것으로 알려졌다.

4일 은행권에 따르면 국민 신한 우리 하나은행 등 4대 주요 시중은행의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은 정부가 요구한 수준에 도달했지만 기본자기자본(Tier1) 비율의 경우 우리은행과 하나은행은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고 있다.

정부는 은행권에 이달 말까지 BIS 비율 12%, 기본자기자본 비율 9% 이상을 유지하도록 지시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은행들은 지난해 11~12월 두 달 동안 증자와 후순위채 발행 등을 통해 16조원 이상의 자본을 확충했다.

금융감독원은 은행들의 자본 확충 노력을 통해 BIS 비율의 경우 지난해 9월 말보다 1.38%포인트, 기본자기자본 비율은 0.60%포인트 가량 상승한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실제로 국민은행은 지난해 말 기준 BIS 비율 12%대 중반, 기본자기자본 비율 9%대 후반을 달성했다.

신한은행도 정부의 가이드라인을 충족한 상태로 하이브리드채 발행 등 추가적인 자본 확충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우리은행은 건전성 지표를 잠정 집계한 결과 지난해 말 기준 BIS 비율은 12%를 넘겼지만 기본자기자본 비율은 8%대로 정부 기준에 미달된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정부가 당초 BIS 비율과 기본자기자본 비율을 11%와 8%로 제시했다가 갑자기 1%포인트씩 높이는 바람에 시간이 부족했다"며 "아직 시한이 남아있는 만큼 추가 자본 확충에 나설 계획이며 자본확충펀드의 지원을 받는 것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하나은행도 BIS 비율은 12%를 넘어섰지만 기본자기자본 비율이 9%에 조금 못 미치는 것으로 알져졌다.

은행들은 건전성 지표를 개선하기 위해 연초 3조1000억원 규모의 자본 확충 계획을 수립 중이다.

특히 정부가 제시한 기준에 미달된 은행들의 경우 이달 중 조성되는 자본확충펀드의 지원을 받을 수 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금융위원회 관계자는 "자본확충펀드의 설립 목적은 은행들의 기본자기자본 비율을 높이는 데 있다"며 "하이브리드채 등 기본자기자본에 포함되는 채권들을 매입하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현재 자본확충펀드 지원을 검토 중인 은행들이 있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재호 기자 gggtttppp@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