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워룸 설치를 환영한다

미국의 금융위기 사태가 발생한지 만 4개월이 다 되가는 5일 현재 실문경제 위기로 전이됐다.

2009년 새해를 맞이했으나 희망적인 소식보다는 어두운 통계로 인한 암울한 경제전망만 나오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경제위기론이 대두되면서 청와대와 정부, 여당의 역할을 놓고 무용론이 나오는 등 갈수록 국민의 원성이 커져만 가고 있다.

이명박 대통령도 이를 인식한 듯 지난2일 신년 연설을 통해 ‘2009년 이명박 정부는 비상경제정부 체제로 나가겠다’며 사실상 워룸을 만들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워 룸’이란 전쟁 같은 국가적 비상 상황을 맞아 정부 최고위 인사들이 신속히 사태를 파악하고 적시에 중요한 의사 결정을 하기 위해 구성하는 조직일 것이다.

이 대통령이 밝힌 ‘비상경제대책회의’는 서별관 회의(경제금융점검회의)를 대신해 새로운 컨트롤 타워를 청와대에 구성하겠다는 의지 표시이다. 회의 참석자도 기존 멤버 외에 국민경제자문회의 위원 2-3명 포함시키고 이 대통령이 직접 회의를 주재하는 것으로 되어 있어 명실상부한 한국판 ‘워룸’이 된다.

그동안 정부는 매주 화요일과 금요일에 각각 장관급 회의인 경제금융점검회의와 ‘위기관리대책회의’를 열고 있다는 점을 들어 별도로 ‘워 룸’을 설치할 필요는 없다는 태도를 보여 왔다. 워룸이란 용어가 경제위기를 기정사실화해 경제주체들의 불안 심리를 증폭시킬 수 있다는 점도 소극적인 이유 중 하나였다.

그런 정부가 워룸을 만들겠다고 나선 것은 급변하는 경제 상황에 일사불란하게 대응하기 위해서는 정부 차원의 통일적인 대응체계가 필요하다고 뒤 늦게나마 인식한 것으로 보인다.

본지도 지난해 12월15일부터 5차례에 거쳐 ‘워룸을 만들자’는 시리즈를 통해 대통령이 나서 매일 경제 상황을 점검하고 대책을 세우는 기구의 필요성을 지적한 바 있다.

따라서 이 대통령의 이 같은 구상에 대해 때늦은 감은 있지만 지금이라도 경제 위기감을 인식하고 워룸을 만들겠다고 나선 것에 대해 환영하는 바 이다.

워룸을 만들어 운영하는 것이 우리나라만이 아니다. 이미 미국도 1987년 10월 19일 주가가 대폭락하는 ‘블랙 먼데이’로 금융시장이 혼란에 빠지자 재무장관을 의장으로 하는 ‘대통령 금융시장 실무그룹’을 설치한 바 있다. 일본도 총리 자문기구로 ‘금융위기대응회의’를 두고 있다.

영국은 지난해 9월 미국계 투자은행(IB)인 리먼브러더스 파산 이후 종합상황실을 만들어 선제 대응에 나서고 있다.

이렇듯 선진국들도 이미 설치해 운영하고 있다. 문제는 워룸을 어떻게 성공적으로 운영하느냐에 달려 있다. 이제 경제 위기 대처에 있어 기획재정부, 금융위원회, 한국은행, 국토해양부, 지식경제부 등으로 분산된 경제정책 수행기관의 부처 간 이기주의를 잠재우고 일사분란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또 향후 예상되는 시나리오별 위기대응계획을 수립하여 정부의 견해도 오직 이 창구만을 통해서 전달해 시장의 혼란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워룸이 일각에서 우려하는 옥상옥이 되지 않게 하려면 관료뿐만 아니라 실질 금융위기를 현장에서 겪고 있는 국내 금융인과 기업인 등은 물론 월가전문가들도 참여해 현장 목소리와 아이디어가 반영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 여야 정치 리더들도 참여시켜 워룸에서 도출된 결론에 신속히 실행될 수 있도록 최대한 협조할 수 있도록 해 시간을 단축해야 할 것이다. 청와대는 국제자문위원과 같은 기존 조직을 활용해 국외 리더들의 아이디어도 반영하는 방법도 생각해 봄직하다.

우리 경제 회생을 위해서는 상하 관계 등을 따지지 말고 그 분야에서 최고 전문가를 모셔와 의견을 듣는 형식 파괴도 요구된다. 이제 최고의 인적 자원으로 구성된 워룸의 성공적인 운영으로 우리경제가 하루라도 빨리 회복되기를 기대해 본다.

    /양규현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