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건설사 구조조정 기준 불만 많다

  • "부채비율 일괄 적용 가장 못마땅"

건설업계에 퇴출 칼바람이 휘몰아 치면서 노심초사하고 있는 중소 건설사들이 구조조정 기준을 두고 불만을 쏟아내고 있다. 구조조정 기준이 애매한 데다 이를 일괄 적용하는 것은 중소업체에 상대적으로 불리하다는 판단에서다.

6일 금융권과 건설업계에 따르면 은행들은 이번주부터 부실기업 선별작업에 나서 다음달 말까지 퇴출 대상 기업을 확정할 방침이다.

평가 대상은 주채권은행 신용공여액 50억원 이상의 건설사 300여곳으로 은행들은 지난해 말 전국은행연합회가 발표한 '건설사 신용위험 평가표'에 따라 건설사를 A~D의 4개 등급으로 나눠 평가등급 C는 워크아웃, D는 퇴출시킬 방침이다.

하지만 중소 건설사들은 평가기준이 합리적이지 못해 업체 규모가 작을 수록 불리할 수밖에 없다며 볼멘소리를 내고 있다. 이들이 가장 불만스러워하는 것은 '부채비율'. 최종 등급은 모든 항목을 종합해 결정되지만 부채비율 300% 이상일 경우 최하점을 받게 된다.

특히 신용평가 항목 중 부채비율은 가중치가 2.0으로 '계열사 지원 등을 통한 자금조달 가능성'과 함께 가중치가 가장 높다. 생사의 갈림길에 선 업체들로서는 부담스러울 수밖에 없다.

중소건설사 A사 관계자는 "업체 규모가 작을 수록 부채비율은 높을 수밖에 없다"며 "특히 중소 주택업체들은 자본금이 적은 만큼 부채비율이 500%가 넘는 업체도 상당수 있어 기준을 일괄 적용하는 데엔 문제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건설사 부채는 일반 제조업체와 달리 대개 프로젝트 파이낸싱(PF)에서 발생한 것인데 신용평가 기준은 PF 대출에 너무 불리하게 돼 있다"고 덧붙였다.

주택산업연구원 김찬우 박사는 "업체별로 별도의 기준을 적용하는 데엔 문제가 따르겠지만 일정 규모별로 업체들을 나눠 그에 맞는 기준을 따로 적용하는 방안은 생각해 볼 수 있다"고 말했다.

비재무항목에 대한 불만도 적지 않다. 특히 '평균 분양률' 항목의 가중치가 1.40으로 상대적으로 낮다는 데 불만이 높다. 중소건설사 B사 관계자는 "건설업 전반을 위기로 몰아 놓은 지방 미분양사태를 빚게 한 게 대형업체들인 데 기준이 너무 관대한 게 아니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밖에 시공능력 순위 및 자기자본 비율(가중치 0.8), 공사계약잔액 배율(0.6), 계열사 지원 등 자금조달 가능성(2.0), 사업포트폴리오(1.0) 등도 대형사에 유리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한상희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구조조정 과정에서 초점이 될 부분은 비재무항목평가"라며 "업력이 길고 규모가 클수록 높은 점수를 받을 확률이 높고, 시공능력평가 순위와 자기자본비율, 사업포트폴리오 평가 역시 규모가 크고 다양한 사업을 수행하는 대형사가 유리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대형사들은 지원받을 가능성이 높은 계열사를 가지고 있어 자금 조달도 수월하다"고 덧붙였다.

김신회 기자 raskol@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