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년동안 환경성 질환자 수가 약 30% 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연구원은 지난 2002년부터 2007년까지의 환경성 질환 진료환자를 분석한 결과, 2002년의 환경성 질환자수는 총 552만명이었으나, 2007년에는 29.3% 증가한 714만명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특히 알레르기 비염 환자는 2002년에 294명에서 2007년에 443만명으로 무려 50.7%가 증가했다.
천식 환자도 203만명(2002년)에서 매년 증가추세를 보여 2007년에는 239만명으로 17.7% 늘었다.
환경성 질환은 알레르기 비염, 아토피 피부염, 천식 등을 가리키는 것으로서 실내∙외의 공기 오염물질이나 음식 첨가제, 꽃가루, 집 먼지 등으로 감염된다.
특히 환경적 특성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9세 이하 아동들이 타 연령층에 비해서 환경성 질환자수가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07년 알레르기 비염환자의 경우 9세 이하가 94만명으로 전체 진료환자의 21. 2%를 차지했고, 아토피 피부염은 60만명으로 53.4%, 천식은 99만명으로 41.5%를 각각 차지했다.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추장민 책임연구원은 “환경성 질환의 발생원인으로는 환경오염 노출을 들 수 있다”며 “현재 대다수 환경정책이 실외 환경문제에 집중되어 있으나, 앞으로는 실내환경 개선을 위한 정책보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재붕 기자 pjb@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