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21세기형 공공사업 활성화 추진으로 IT기술 관련업계에 장미빛 전망을 내놓았다. |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21세기형 공공사업은 건설업 중심이 아닌 IT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 새로운 개념의 뉴딜정책이라는 호평을 받고 있는 가운데 IT기술 관련업계에 대한 장밋빛 전망이 확산되고 있다.
각국 정부가 침체된 경기를 활성화시키려는 대책으로 주로 내놓는 첫 번째 카드는 도로나 다리를 건설하는 공공사업 추진이다.
그러나 최근 하원이 통과시킨 8190억 달러(약 1129조원) 규모의 경기부양안은 사회인프라망 확충의 일환으로 IT관련 기술산업 부문에 370억 달러를 투입하는 계획이 포함되어 있어 IT기술 중심의 새로운 개념의 뉴딜정책으로 평가받고 있다.
IT 지원프로그램 중 200억 달러는 의료기록 전산화, 110억 달러는 첨단 전기공급망 설비, 60억 달러는 초고속 인터넷망 구축에 각각 쓰일 예정이라고 뉴욕타임스(NYT)는 최근 내다봤다ㅏ.
미국 정부는 IT 기술관련 산업에 대규모 투자함으로써 혁신적이며 효율적인 산업의 기초를 쌓아 이로써 디지털 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코자 한다고 신문은 전했다.
연방통신위원회에서 활동하던 블레어 레빈 백악관의 기술정책고문은 "IT를 비롯한 첨단기술에 대한 이번 정부의 투자로 업계가 직접적인 부양효과를 얻을 뿐만 아니라 장기적 관점에서 기업들의 성장과 생산성 향상에 기반이 마련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IT 업계 또한 이러한 정부의 부양책에 적극 반기는 분위기다.
컴퓨터 네트워크업체인 시스코의 존 챔버스 최고 경영자(CEO)는 "글로벌 경기침체에 업계 전반이 위축될 분위기이지만 정부의 경기부양책로 경기가 살아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챔버스 CEO는 "초고속망 인터넷과 의료 전산화 같은 IT 기술관련 부양책을 통해 미 전역에 첨단 인프라 구축이 촉진될 것이고 이에 따라 시스코와 같은 IT기업들도 성장세를 보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대부분의 첨단기술 관련산업은 이미 상당수준 자동화가 진행되어 있어 건설업처럼 단기간에 대규모의 고용효과를 내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이번 부양책을 통해 오바마 대통령은 IT첨단기술을 의료, 통신, 에너지 부문에 접목시킴으로써 노동 집약성을 높여 고용을 촉진시킬 것이라고 신문은 전했다.
한편 정부가 IT관련 기술부문에 투자함으로써 약 3만여개의 일자리가 만들어 지고 10억 달러의 경기부양 효과를 내 기존의 공공사업과 비슷한 효과를 볼 것이라는 회의적인 일각의 의견도 있다.
그러나 1950년대 도로망 확충사업이 자동차 제조업이나 전국의 유통업계가 성장할 수 있는 발판을 만들어 준 것처럼 첨단 인프라 구축을 위한 투자는 기존의 공공사업보다 이익 창출 효과면에서 훨씬 큰 효과를 줄 수 있다고 디지털인프라 확충을 찬성하는 이들은 주장한다.
건강기록 전산화의 경우 향후 5년간 500억 달러를 이 부문에 투자하여 전국 의료네트워크를 통해 건강기록 관련 정보를 공유화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의료전산화가 제대로 이뤄질 경우 현재 약 17%의 의료진만이 사용하는 의료 네트워크가 활성화되면서 진단에서부터 치료까지 원스톱 의료화가 가능해질 것으로 전망된다고 신문은 전했다.
신기림 기자 kirimi99@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