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정부와 기업이 해외 석유 및 가스 개발에 사상 최대규모인 40억2000만 달러를 투자했으며 이를 통해 석유.가스 자주개발률이 5.7%로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자주개발률은 국내 업체에 의한 해외 석유.가스 생산량을 국내 도입량으로 나눈 지표다.
지식경제부는 9일 내놓은 '2008년 해외 유전개발 사업실적'자료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지난해 정부와 기업들의 해외 석유.가스분야 투자액은 전년보다 57.6% 늘어난 것으로, 에너지 확보에 대한 관심 제고와 함께 고유가에 따른 매입비용 증가 등이 영향을 끼친 것으로 풀이된다.
분야별로는 탐사사업에 10억8천300만 달러, 개발사업에 2억4천800만 달러가 각각 투자됐고 생산광구 매입과 생산 증대 등에도 26억8천700만 달러가 투입됐다.
특히 미국 테일러 광구 등 생산광구 매입과 페루,브라질 등 일부 광구의 생산 시작 및 생산량 증대로 하루 생산량은 17만2천200 배럴로 전년(12만5천 배럴)보다 37.8% 늘어났다.
지난해 우리나라의 하루 석유.가스 도입량(301만3천 배럴)을 감안하면 자체 생산물량이 차지하는 비중, 즉 자주개발률도 5.72%로 전년(4.2%)에 비해 1.72%포인트 상승했다.
지경부 측은 "자원민족주의 대두로 리비아에 확보했던 엘리펀트 생산광구의 지분생산량이 하루 1만6천 배럴에서 5천 배럴로 급감했으나 생산유전 매입과 기존 광구 증산 등으로 자주개발률은 높아졌다"고 설명했다.
정부와 기업이 해외 사업개발에 적극 나서면서 지난해 시작된 신규 프로젝트도 36개국, 155개로, 전년에 비해 35개가 증가했다.
이 가운데 지분투자 수준을 벗어나 기술,경험을 확보할 수 있도록 운영권을 확보한 사업도 전년보다 15개 증가한 67개로 늘어났다.
지경부는 "경제,금융여건이 어렵지만 자원가격이 약세인 올해를 유망 프로젝트 확보의 기회로 보고 올해는 정부와 민간이 모두 52억 달러를 투자해 하루 5만3천 배럴 이상의 자주개발 물량을 확보함으로써 자주개발률을 7.4% 이상 달성하도록 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인터넷뉴스팀 news@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