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권 대출 연체규모 30조원 육박

  • 中企대출 연체금액 1년새 2배 급증

금융권의 대출 연체 규모가 1년새 6조원 이상 증가하며 총 30조원에 육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소기업 대출의 연체 규모는 1년 동안 2배로 급증했다.

전문가들은 경기가 빠르게 하강하면서 연체율 급등으로 인한 가계와 기업, 금융권의 연쇄 부실이 늘어날 것으로 우려했다.

11일 금융감독원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권 전체 대출 규모는 지난해 말 현재 1251조9700억원(저축은행·상호금융회사는 9월 말 기준)으로 이 가운데 연체 금액은 29조1200억원으로 파악됐다.

연체 금액은 1년 전보다 6조5600억원(29%) 급증했으며 연체율도 2.04%에서 2.33%로 껑충 뛰었다.

금융 업종별로는 은행권의 연체 규모가 5조9000억원에서 10조원으로 4조1000억원 급증했으며 연체율은 0.74%에서 1.08%로 상승했다.

저축은행 연체 금액은 6조9300억원에서 8조5800억원으로, 농협·수협·신협·산림조합 등 상호금융회사의 경우 5조8400억원에서 6조4800억원으로 각각 늘었다.

보험사도 2조8000억원에서 3조원으로 소폭 증가했다.

이에 따라 저축은행 연체율은 14.7%에서 16.0%로, 상호금융회사는 4.0%에서 4.3%로 각각 높아졌다. 반면 보험사는 연체보다 대출이 더 많이 늘어나 연체율이 3.93%에서 3.76%로 낮아졌다.

경제 주체별로는 중소기업과 가계의 연체 규모가 큰 폭으로 증가했다.

은행권의 중소기업 대출 연체 금액은 1년 동안 3조7000억원에서 7조2000억원으로 2배 가량 급증했으며 연체율도 0.7%포인트 상승한 1.7%를 기록했다.

가계 대출의 연체 금액은 2조원에서 2조3000억원으로 불어났으며 연체율은 0.55%에서 0.60%로 높아졌다.

금융권의 대출 연체 규모는 갈수록 커질 것이라는 게 중론이다. 경기침체 국면이 악화되고 있는데다 기업 구조조정이 본격화할 경우 연체 금액 증가가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대출 부실에 따른 은행들의 최대 손실 규모가 12~26조원에 달할 수 있다고 예상했다.

이재호 기자 gggtttppp@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