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최대 기업 노동조합인 일본우정(郵政)그룹(JP) 노조(조합원 수 약 22만3000명)는 올해 춘계 노사교섭에서 정사원 임금의 '기본급 인상(베이스업)'을 요구하지 않는 한편 비정규직 사원의 처우 개선을 위해 월급제 계약사원의 기본급 인상을 요구할 방침이라고 산케이(産經) 신문이 12일 보도했다.
정사원의 임금 동결은 2년만이며 오는 18, 19일 양일에 걸쳐 중앙위원회에서 최종 결정하게 된다.
경기후퇴로 경영환경이 크게 변화하고 있고 일본우정공사를 우정그룹 산하 4개사로 분사한 우정 민영화를 재고해야 한다는 정치 동향 등 불안 요소가 산재하고 있다는 점을 노조가 감안하여 2년 연속 기본급 인상은 어렵다고 판단했을 것으로 신문은 풀이했다.
신문은 또 민영화로 발족한 각 그룹사별 실적에 차이가 있어 일괄적인 요구를 통해 임금을 책정하는 것도 곤란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일시금은 작년 봄 요구조건과 같은 4~5개월분을 요구할 것으로 가닥을 잡았다.
사진설명: 일본우정공사 |
아울러 JP노조는 전 종업원 수의 절반에 가까운 22만 명 비정규직 사원의 처우 개선에 대해, 월급제 계약사원의 정사원 전환고용 확대나 시급제 계약 사원의 시급 단가 인상 등을 요구할 방침이다.
고용 환경이 급속히 악화되는 가운데 회사의 큰 전력인 비정규직 고용을 확보하고 그 대우개선에 있어 정사원과의 격차를 줄여나갈 것을 도모하기로 했다.
이번 봄 노사교섭에서는 노조연합이 8년 만에 물가상승률을 고려한 1%대 임금인상 요구방침을 결정해 산하 노조들이 이에 따라줄 것을 재촉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 최대의 JP노조가 연합 방침에 반하는 요구 보류를 결정함에 따라 향후 춘계 임금 협상 투쟁 교섭에 적지 않은 파장을 일으킬 것으로 신문은 내다봤다.
오성민 기자 nickioh@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