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제조업의 체감경기가 외환위기를 겪던 11년 전 수준으로 떨어졌다.
26일 한국은행이 전국 1397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조사, 발표한 '2009년 2월 기업경기조사 결과'에 따르면 제조업의 2월 업황 기업경기실사지수(BSI)는 43으로 전달의 47대비 4포인트 하락했다. 이는 35를 기록했던 1998년 1분기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지난해 9월까지 70선에 머물던 제조업 업황 BSI는 글로벌 금융위기가 터지며 10월 들어 67, 11월 54, 12월 46으로 빠른 하락세를 나타냈다. 지난달 정부의 경기부양책에 대한 기대감으로 1포인트 상승반전하기도 했지만 이내 추락하고 만 것이다.
하지만 3월 업황을 예상하는 전망 BSI는 50을 기록해 2월의 49보다 1포인트 올랐다.
업황 BSI는 100을 기준으로 해당 기업의 경영여건을 악화됐다고 보는 기업이 좋게 보는 기업보다 많으면 100에 못 미치게 된다.
제조업 가운데 중소기업, 내수기업의 악화 폭이 컸다. 중소기업의 2월 업황 지수는 43으로 전달 대비 5포인트 떨어져 1998년 1분기 33을 기록한 이후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고 대기업 지수는 1월 45에서 2월 43으로 2포인트 감소했다.
내수기업의 지수는 45로 전월보다 무려 7포인트 급락했다. 다만, 수출기업의 지수는 39에서 40에서 1포인트 높아졌고, 환율 급등의 효과로 수출기업의 3월 전망 지수는 45로 5포인트 상승했다.
장영재 한은 통계조사팀 과장은 "지수 하락은 연초 소폭 상승한 데 따른 반작용으로 기준치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상황으로 지수의 등락 여부를 떠나 전반적으로 악화된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제조업들이 느끼는 경영 애로사항으로는 내수 부진(26.2%)과 불확실한 경제상황(25.6%)이 가장 많았고 환율 요인(13.8%), 수출부진(13.4%), 자금부족(6.9%) 등이 뒤를 이었다.
비제조업의 2월 업황 BSI는 59로 전달과 동일한 수준을 기록했다.
김유경 기자 ykkim@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