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 무리한 송전선로 추진 '논란'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09-02-26 15:13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진도-제주, 신당진-신온양, “합의절차 간과”
총신대 “물리적 대응 불사” 강력 반발...곳곳서 파문

한국전력공사가 지역민들의 사전 동의 없이 일부 지역에 송전선로 건설추진을 강행하고 있어 파문이 일고 있다.

특히 총신대 양지캠퍼스 인근에 들어설 예정인 송전선로를 두고 학교 측이 강하게 반발하고 있어 경우에 따라 대학측과 한전간 물리적 충돌마저 우려되는 상황이다.

26일 한전, 총신대 등에 따르면 문제가 되고 있는 송전선로 사업장은 진도-제주, 신당진-신온양, 총신대 양지캠퍼스 등 크게 세 곳.

이중 진도-제주, 신당진-신온양 간 사업은 지역민들이 일제히 “지역민의 동의와 합의절차가 간과됐다”면서 한전에 사업 중단을 촉구하고 있는 상황이다.

총신대의 경우에는 송전선로 건설 추진과 관련해 실력행사 등 물리적 충돌도 불사한다는 방침이어서 파열음은 증폭될 전망이다.

총신대 관계자는 “한전이 사전에 학교와의 협의나 통보 없이 일방적으로 지난해 초 송전탑 두 개를 학교인근에 가설했다”면서 “당시 학교가 강하게 반발하자 한전이 추가공사를 중단한 상태”라고 밝혔다.

그는 “한전 측이 내달 3일 교수 전체회의에서 사업에 대한 설명회를 연다고 하나 사업 강행을 위한 최후통첩 수순에 불과하다”면서 “물리적 대응 방식도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전 측은 설득작업을 통해 원만히 합의해 나가겠다면서도 공사일정 연기는 불가하다는 강경한 입장이다.

한전 송전건설팀 관계자는 “장학기금 마련을 비롯 교내 철탑 이전과 같은 현실적 대안을 학교 측에 제시했으나 무조건 송전탑을 옮기라는 말만 되풀이 하고 있다”면서 “적법한 사업인데다 국책사업이기 때문에 공사를 무한정 미룰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시공업체 선정 및 자제준비를 완료해 놨으나 공사시행을 못하고 있어 유·무형적 피해가 막심하다”고 덧붙였다.

한전 측은 적법한 절차에 따라 사업을 강행하겠다는 입장이나, 주민의견 수렴절차를 뒤늦게야 하는 등 지역민들과의 사전 의견조율이 부족했다는 비난은 면키 어려워 보인다.

지난달 초 국회를 통과한 ‘전원개발 촉진법 개정안’에 따르면 전원개발사업자는 사업 실시계획의 승인 또는 변경승인을 신청하기 이전 열람 및 설명회를 통해 사업시행으로 영향을 받게 되는 지역 주민 등의 의견을 수렴하고 민원을 해소해야 한다.

하지만 한전은 지난 23일에야 총신대 양지캠퍼스에서 송전선로에서 나오는 전자파의 인체 안전성에 대한 설명 및 토론회를 뒤늦게 진행해 빈축을 샀다.

김재훈 기자 jhkim@ajnews.co.kr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