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화량 축소에 따라 물가가 하락하고, 경제활동이 침체되는 현상을 의미하는 디플레이션(Deflation)이 국내 경제를 위협하기는 힘들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작년 하반기 이후 경기 하강세가 이어지고 있어서 글로벌 경제위기 심화와 같은 돌발변수에 대비해 신용경색 해소와 같은 선제적 대응책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경제연구소는 26일 ‘한국경제의 디플레이션 진입 가능성 진단’ 보고서를 통해 “현재까지 현금보유성향 추이를 볼 때 국내 경제의 유동성 함정이나 디플레이션진입 가능성은 낮다”고 밝혔다.
추정 근거로 연구소는 “국내의 경우 현금보유성향이 작년 12월 현재 0.003으로 외환위기 이후 장기적인 평균수준(0.007)의 절반”이라며 “극단적인 유동성 선호로 이어질 가능성이 희박하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IMF도 한국의 디플레이션 발생가능지수를 작년 4/4분기 0.29에서 올해 4/4분기 0.14로 하락 조정했다고 한다.
반면 연구소는 “글로벌 경제위기가 심화되거나 국제유가 급등과 같은 돌발변수가 우려된다”며 “디플레이션 가능성 차단을 위해 한국은행의 추가 금리인하, 대출 시 신용증권 담보범위 확대 등을 통한 신용경색 해소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연구소는 “‘잃어버린 10년’ 당시 일본은 수차례의 경기부양책 도입에도 불구하고 재정투입 시기가 분산되고 일관성이 없어 경기회복에 결국 실패했다”며 일본의 경험을 되새겨 재정 집행의 선택과 집중, 신속한 의사결정이 요구된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미국과 일본은 디플레이션에 빠질 우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소는 “금융위기의 진원지인 미국이나 엔화 강세 등의 영향으로 경기가 부진한 일본은 상대적으로 유동성 함정이나 디플레이션 진입 가능성이 크다”고 짚었다.
연구소는 “최근 IMF가 올 해안에 디플레이션 가능성이 가장 높은 국가로 미국과 일본을 지목했다”며 “‘디플레이션 발생가능 지수’가 미국은 0.47에서 0.53으로, 일본은 0.64에서 0.71로 모두 상승할 정도로 조사대상 국가 중 가장 높은 수위를 차지했다”고 지적했다.
*용어설명=디플레이션(Deflation)
통화량 축소에 따라 물가가 하락하고, 경제활동이 침체되는 현상을 말한다. 통상 급격한 수요위축을 수반하기 때문에 부정적 효과가 크다. 때문에 한 번 빠지면 헤어 나오기 힘들어 ‘경제의 악마’로도 불린다. 역사적으로는 2차 대전 이후 정부의 정책 개입이 보편화되면서 디플레이션 발생은 1990년대 일본의 장기 불황 경험이 거의 유일하다.
김훈기 기자 bom@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