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이 그간 치중했던 한반도 주변 4강(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외교를 넘어 광활한 아시아로 그 지평을 넓히는 ‘신(新) 아시아 외교안보’ 구상을 전격 발표해 신선한 충격을 주고 있다.
이 대통령이 8일 발표한 신아시아 구상은 세계 경제의 중심축이 아시아권으로 이동하고 있는 현 상황에서 한국이 아시아권 리더국가로 자리하겠다는 게 요체다. 특히 아시아 모든 국가와 조속히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하고, 각국과 ‘맞춤형 경제협력’을 구축하면서 동남아를 비롯, 서남아, 중앙아시와 남태평양으로 경협의 외연을 넓히겠다는 구상이다.
정부는 이를 위해 경제위기임에도 불구하고 대개도국 유무상원조(ODA) 및 기술협력 자금을 증액했으며 향후 경제여건 호전시 그 규모를 더욱 확대키로 했다.
실질적인 아시아 시대 개막을 목전에 두고 선제적으로 아시아권 외교에 뛰어들어 글로벌 경제위기 극복의 신동력을 아시아에서 찾겠다는 복안이다.
그만큼 아시아는 대외의존도가 70%를 넘는 통상국가 한국에 있어서 매력적인 땅이다. 인구 38억명의 아시아는 국내총생산(GDP)이 10조7000억 달러로 세계전체의 21%를 차지하고 있고, 교역액도 8조 달러로 세계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6%다. 아시아는 북미와 유럽연합(EU)과 함께 세계 3대 세력권인 셈이다.
정부는 이번 순방에서 도출한 아태 3개국과의 진전된 협력관계를 발판으로 향후 아시아권 공략에 적극 나서야 할 것이다.
우선 오는 4월10일 태국에서 열리는 아세안 +3(한.중.일) 및 동아시아 정상회의를 시작으로, 6월 제주도에서 열릴 한-아세안특별정상회의, 10월 아세안 +3 정상회의, 11월 싱가포르에서 열릴 아태경제협력체(APEC) 회의 등 일련의 정상회담에서 확고한 협력관계 구축을 위해 만전을 기해야 한다.
세계 최대 인구와 시장, 막대한 성장 잠재력을 지난 아시아와의 경제협력은 선택이 아닌 필수이기 때문이다.
송정훈 기자 songhddn@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