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김포시 고촌면 신곡리 H아파트단지. 이 아파트 단지 곳곳에는 '바다모래 야적장 우리집 앞 설치 결사반대'라고 적힌 현수막이 즐비하다.
바닷모래 야적장 즉, 해사부두는 이 아파트 단지 인근에 약 4만3000㎡, 5선석(선박접안시설) 규모로 건설될 예정이다. 이 사업은 김포ㆍ인천터미널과 함께 경인운하 건설공사의 핵심이다.
그런데 아파트 단지 주민들을 포함한 고촌면 주민들과 지방의회 의원들까지 해사부두 건설을 반대하고 나서 경인운하 사업이 복병을 만났다.
고촌면 주민들은 지난 1월 '해사부두 설치 반대를 위한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를 구성하고 해사부두 철회운동을 벌이고 있다.
"해사부두가 설치될 경우 미세먼지가 최대 4∼5㎞까지 날려 어린이나 노약자 등이 호흡기 질환을 앓게 되고 창문을 열지 못한 채 생활해야 하는 등 많은 불편이 따를 수 밖에 없다. 바닷모래 자체도 문제지만 대형트럭이 하루 3000대 가량 오고 가는 과정에서 많은 먼지와 소음, 교통사고 위험 등 갖가지 문제를 일으킬 것이 너무나 뻔한데 어떻게 찬성하겠느냐?" 김찬식 비대위 위원장의 지적이다.
한 주민은 처음부터 해사부두가 건설될 것이라고 했으면 경인운하 사업은 반대했을 것이라며 불투명한 정부정책에 불만을 토로하기도 했다.
그만큼 주민을 대상으로 한 제대로 된 설명회가 없었다는 반증이다. 지난달 경인운하 관련 주민 토론회와 공청회가 있었지만 찬성과 반대 측의 심한 몸싸움만 있었을 뿐이다. 수자원공사 입장에서는 반대론자 때문에 제대로 설명할 기회를 갖지 못했다고 항변할 지 모르지만 경인운하가 아닌 해사부두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그동안 없었던 것이 사실이다.
문제가 돼서야 수공은 이 문제 해결을 위해 김포시장, 국회의원, 비대위가 참여하는 태스크포스(TF)팀을 구성했다. '뒷북성' 대책 마련에 뛰어든 것이다.
경인운하 사업은 수조원의 돈이 투입되는 공사일 뿐만 아니라 완공 후에도 환경과 우리의 생활에 지속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사업이다. 근거 없는 장미빛 미래를 선전하기보다는 좀 더 철저한 연구와 준비 그리고 충분한 사전 설명과 주민설득이 먼저일 것이다.
유희석 기자 xixilife@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