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황의 영향으로 최근 중국 소비시장에서는 중저가 제품이 인기를 끄는 '감자효과(Potato Effect)'와 짝퉁이라는 뜻의 '산짜이(山寨)의 구매 행태가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코트라는 '불황기 중국시장, 소비 트렌드를 읽어라' 보고서를 통해 최근 중국인의 소비특징을 소개하면서 중국내 판매전략수립과 브랜드 관리에 참고할 것을 조언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불황으로 중국 내에서 알뜰구매가 보편화되면서, 대형마트에 무료 통근버스를 타고 가서 특가판매 제품만 골라서 구매하거나 저녁 8∼9시 영업시간 마감 직전에 할인되는 야채와 과일을 찾는 소비자가 늘고 있다.
또 인터넷을 이용해 교통수단, 결혼 혼수용품 등을 공동구매하는 핑커(Pinker)족도 증가하는 추세다. 충칭 호텔설비 판매업체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6월 5% 정도였던 공동구매 판매액이 10월에는 20%로 급증했다.
외식 대신 집에서 음식을 만들어 먹기 위한 두유제조기, 전기오븐 등 '홈메이드 서포트 상품'과 라면 등 인스턴트식품과 냉장식품의 매출도 증가하고 있다.
반면 고급담배의 매출이 감소세를 보이고 있으며, 가격이 비싼 보석 장신구의 판매량은 50% 이상 줄었다.
보고서는 낮은 금액으로 고가상품 구매 욕구를 채우려는 소비자들이 늘면서 짝퉁이라는 뜻의 '산짜이 제품' 수요도 급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산짜이 제품으로는 휴대전화, 컴퓨터, 디지털카메라, TV 등 첨단 가전제품들이 많은데, 이 제품들이 폭넓은 소비층을 확보하면서 정품 생산업체의 매출과 이미지에 타격을 주고 있다.
중국 ZDC인터넷소비연구조사센터가 지난 1월 실시한 산짜이 액정TV에 대한 여론조사에서 응답자의 73.3%가 산짜이 제품을 알고 있으며, 구매의사가 있다고 답한 응답자가 40.6%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준규 코트라 중국팀 과장은 "중국 저가제품과의 무차별적인 가격경쟁보다는 '실속제품'의 이미지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최근 증가하고 있는 인터넷 판매를 적극 활용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산짜이 제품' 확산에 따른 한국 상품의 브랜드 가치 보호와 고객이탈 방지에도 주의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변해정 기자 hjpyun@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