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가 닷새만에 약세로 돌아섰다. 투자자들이 나흘간의 상승분을 회수하기 위해 매물을 쏟아낸 데다 경기지표 역시 최악의 수준에서 벗어나지 못한 탓이다.
차익 실현매물을 쏟아낸 기술주와 소비 관련주가 약세를 주도했다.
16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지수는 지난 주말보다 7.01포인트(0.10%) 내린 7216.97로 마감됐다.
나스닥지수는 27.48포인트(1.92%) 떨어진 1404.02을 기록했고 S&P500지수는 2.66포인트(0.35%) 하락한 753.89로 거래를 마쳤다.
이날 지수는 지난주 랠리가 이어지며 오름세로 출발해 상승폭을 늘려 나갔다.
벤 버냉키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의장이 일요일 CBS방송 시사프로그램 '60분(60 Minutes)'에 출연해 "올해 안에 경기침체가 끝날 것"이라고 밝힌 것이 투자심리를 부추겼다.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들이 지난 주말 영국에서 회담을 갖고 보호주의를 배격하고 은행의 부실자산을 처리하는 데 총력을 기울이기로 한 합의도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다.
하지만 기술주와 소비 관련주를 중심으로 지난주 상승분을 회수하려는 움직임이 본격화하자 추진력이 떨어진 지수는 장 막판에 하락세로 돌아섰다. 이에 따라 인텔은 3.0% 떨어졌고 AMD는 0.8% 하락했다. 제너럴모터스(GM)도 8.1% 빠졌다.
이날 발표된 경기지표 역시 악재로 작용했다. FRB가 발표한 2월 산업생산지수는 99.7로 한 달 전에 비해 1.4% 하락했다. 4개월 연속 하락세로 7년래 최저치다.
뉴욕의 제조업경기를 나타내는 엠파이어스테이트지수도 3월 -38.2로 밀려 지난 2001년 조사 시작 이래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김신회 기자 raskol@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