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제약업계에 따르면 지난 2월 한달간 의약품 원외처방액은 총 6498억원으로 전년 동월대비 9.3% 증가했고, 전월보다는 1.5%가 늘었다.
그러나 작년 2월은 구정 연휴가 포함돼 있었던 점을 감안할 때 일간 원외처방액 기준으로는 오히려 전년 동월대비 1.9% 감소했다.
제약업계 관계자는 “저가 제너릭 의약품의 시장점유율 확대와 경기 둔화탓으로 인한 의약품 수요감소 영향이 컸던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제약사별 원외처방액 증가율을 보면 동아제약이 총 302억원을 기록하며 전년동월대비 무려 41.3%가 증가해 국내 제약사 중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다.
특히 스티렌(위염 치료제)이 29.2% 성장하는가 하면 플라비톨(항혈전제)이 87.4%, 오로디핀(고혈압치료제)이 56.1% 증가하는 등 주요 제품들의 괄목할만한 성장세가 있었다.
코자 제너릭시장 선점에 성공한 종근당도 지난달 원외처방 규모가 전년동월대비 27.9% 증가하며 성장가도를 달렸다.
이외에 유한양행은 19%, 한미약품 10%, 대웅제약 9% 등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외국계 제약사들의 경우 노바티스가 13% 성장하며 가장 높은 기록을 올렸고, MSD 7%, 화이자 4%, 한독약품 3%, GSK 2% 등이 성장했다.
또한 지난달의 원외처방 시장점유율 측면에서는 대웅제약이 1위 자리를 차지했다.
지난달의 대웅제약 원외처방액 규모는 총 338억원에 달했다. 이어 한미약품이 307억원, 동아제약 302억원, 유한양행 219억원, 종근당 191억원 순으로 뒤를 이었다.
이와 관련 한국투자증권 이혜원 애널리스트는 “의약품 가격규제 효과가 가시화되면서 의약품시장 성장세도 둔화되고 있다”며 “향후 대형 제너릭 출시 공백이 예상되고 있어 장기적 관점에서 성장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시급할 때”라고 지적했다.
박재붕 기자 pjb@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