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는 무료 악성코드 치료 프로그램인 '네이버PC그린'에 스팸전송과 분산서비스거부(DDoS)공격에 악용되는 '악성봇'의 진단과 치료 기능을 추가했다고 17일 밝혔다.
악성봇은 사용자의 PC를 감염시켜 감염된 PC와 시스템을 해커가 조종할 수 있게 하는 악성코드의 일종으로 이를 통해 다른 사이트를 공격하거나 특정 PC에 피해를 줄 수 있다.
악성봇 진단 및 치료 기능은 악성봇에 감염된 PC가 해커와 연결을 시도할 때 해커의 시스템 대신 한국정보보호진흥원(KISA)의 시스템으로 연결, 해커가 악용할 수 없도록 감염여부를 신속히 진단하고 치료한다.
이현규 NHN 선행프로젝트그룹장은 “다양화, 고도화되는 바이러스와 악성코드 및 해킹 대응을 위해 이번 KISA협력 모델처럼 관계기관과 지속적으로 협력하고 보다 안전한 인터넷 환경조성을 위해 PC그린 기능을 지속적으로 업그레이드 해 나갈 것” 이라고 밝혔다.
김영리 기자 miracle@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