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가 미디어리서치에 의뢰, 16일 전국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해 17일 발표한 여론조사 결과 이번 사태의 책임소재와 관련, 72.2%가 `아무 설명없이 통행을 차단한 북한 책임'이라고 답했고 15.3%가 `키리졸브 훈련을 실시, 북한을 자극한 한국정부의 책임'이라고 응답했다.
`양측에 모두 책임이 있다'는 응답자는 6%였다.
또 `개성공단 출입 차단 장기화시 정부 대응'에 대한 물음에 `북한과의 갈등을 피하기 위해 북과 적극적 대화에 나서야 한다'를 택한 사람이 47.2%로 가장 많았고 `북한이 체류자의 안전을 보장하지 않는다면 개성공단 폐쇄를 검토해야 한다'는 항목을 택한 이는 44.5%, `안보와 경협은 별개이므로 그대로 둬야한다'는 응답자는 5%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향후 개성공단 추진 방향과 관련한 질문에는 `계속 유지발전'이 41.4%, `북이 공단의 안전과 투명성을 보장할 때까지 축소 운영해야 한다'가 37.1%, `개성공단 체류인원이 북에 전략적으로 활용되므로 폐쇄를 검토해야한다'가 17.5%였다.
또 `개성공단 사업 검토시 중요사항'에 대해서는 `공단에 체류하는 우리 국민의 안전 확보'(58.2%), `공단을 통한 북한 개혁과 개방유도'(31.2%), `공단에 진출한 기업 이익 등 경제적 이익'(7.1%) 순으로 응답했다.
`개성공단 사업의 수혜자가 누구냐'는 문항에는 40.5%가 북한 당국, 25.6%가 개성공단에 진출한 한국기업, 15.5%가 개성공단 북한 근로자, 8.9%가 한국 정부라고 각각 답했다.
개성공단 출입 절차에 대해 `우리 기업 활동 및 체류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87.6%로 압도적으로 많았으며 `북과의 추가적 갈등을 피하려면 현재 제도를 계속 유지할 수 밖에 없다'가 7.4%였다.
이번 조사의 신뢰수준은 95%며 오차 범위는 ±3.1% 포인트라고 통일부는 밝혔다.
인터넷뉴스팀 기자 news@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