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장수리스크(예상치 못한 수명 증가에 따른 위험)'가 세계적 장수국인 일본의 2배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은퇴 후 예상보다 긴 생존 기간동안 경제적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미래에셋퇴직연금연구소가 19일 발표한 '장수 리스크 산정과 국제 비교'에 따르면 한국의 장수 리스크는 평균 0.87로 미국 0.37, 일본 0.35, 영국 0.33 등보다 2배 이상으로 높았다.
장수 리스크는 개인이 예상한 은퇴 후 생존 기간과 실제 생존 기간 사이의 차이를 뜻하는데 우리나라 장수 리스크가 0.87이라는 것은 실제 은퇴 후 생존 기간이 사람들이 예상하는 것보다 평균 87% 가량 더 길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손성동 연구실장은 "장수 리스크가 높다는 것은 사람들이 대체로 자신의 은퇴 후 생존 기간을 실제보다 짧게 예상하고 있어 노후자금 마련 등 은퇴 준비가 전반적으로 취약할 수 있다는 것을 뜻한다"고 말했다.
특히 젊은층에 비해 노년층에 가까워질수록 장수 리스크가 커지는 문제가 있다는 분석이다.
손 실장은 "장수 리스크에 대비해 퇴직연금이나 국민연금 등을 활용한 계획적인 은퇴 설계가 필요하지만 아직까지 이에 대한 구체적인 대안 마련이나 연구가 거의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덧붙였다.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