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원회 고위 관계자는 23일 "은행들이 출자하는 민간 배드뱅크가 자의적으로 운영되는 것을 막기 위해 현재 국내 유일의 배드뱅크로 정부 출자기관인 캠코도 참여하도록 했다"고 밝혔다.
내달 초 출범하는 민간 배드뱅크는 국민은행과 신한은행 등 주요 시중은행과 지방은행이 일정 금액을 출자해 특수목적회사(SPC) 형태로 설립될 예정이다. 캠코도 주요 시중은행에 상응하는 수준의 자금을 출자해 민간 주도의 부실채권 매입 업무에 동참할 예정이다.
금융위는 또 금융감독원과 민간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부실채권 가격산정위원회를 설립해 배드뱅크가 매입하는 부실채권의 가격을 심사하도록 할 방침이다.
예컨대 민간 배드뱅크가 채권가액의 50%에 살 수 있는 은행 부실채권을 70%를 주고 비싸게 사는 일을 방지하겠다는 것이다.
은행들이 자체 배드뱅크 설립을 추진하는 것은 캠코 또는 구조조정기금에 부실채권을 헐값 매각하게 될 것이라는 우려 때문이다. 반대로 민간 배드뱅크가 출자자인 은행의 자산을 비싸게 살 수도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금융위 관계자는 "민간 배드뱅크와 은행이 부실채권을 시장가격에 거래할 수 있도록 가격산정위원회가 거래 가격을 사전 심사하거나 부실채권을 매입할 때 공개 입찰 방식을 활용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앞으로 은행권에서 발생하는 부실채권은 정부의 추가 출자가 이뤄질 캠코와 은행 주도로 설립되는 민간 배드뱅크, 총 40조 원 한도로 5월에 출범하는 구조조정기금이 그 처리를 담당하게 된다.
인터넷뉴스팀 news@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