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중앙부처를 제외한 대부분 공공기관들이 DDoS(분산서비스거부) 공격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행정안전부는 24일 전국 9000여 개 공공기관과 지방자치단체 가운데 DDoS 공격에 대한 보안장비를 갖춘 곳은 한국정보보호진흥원과 금융결제원, 금융정보센터 등 10여 곳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중앙부처는 정부통합전산센터에 DDoS 공격을 방어하기 위한 통신시스템을 구축해놨지만 대부분 공공기관은 최근 빈번히 발생하는 DDoS 공격으로부터 무방비 상태에 놓여 있다.
공공기관이 DDoS 보안장비를 갖추지 않은 것은 낮은 보안의식이 바탕에 깔렸지만 DDoS 보안장비에 대한 국가인증(CC 인증) 등이 마련되지 않은 점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계에서는 빠르면 내달께 CC 인증을 받은 DDoS 보안장비가 나올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행안부 관계자는 "공공기관에 시급히 DDoS 공격을 대비한 방어 체계를 갖출 것을 권고했으나 공인장비가 없는데다 예산도 상당히 들기 때문에 당장 마련하는 게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DDoS(Distributed Denial of Service) 공격은 단시간에 다량의 트래픽을 집중시켜 네트워크 부하를 일으켜 결국 사이트를 다운시키는 사이버테러를 뜻한다.
이보람 기자 boram@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