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화점 수선 서비스가 특수를 누리고 있다.
경기 불황에 새 옷이나 신발 등을 사기 보다는 수선해서 쓰려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아이파크백화점은 패션관에 있는 수선서비스를 이용하는 고객이 지난해 10월부터 10% 이상 꾸준히 상승한 가운데 2월에는 수선실 1곳당 월 1200만원 이상의 매출을 보였다고 30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월 평균 매출액 750만원 비교하면 160% 이상 성장한 금액이다.
아이파크백화점은 현재 의류를 전문적으로 수선하는 수선실 2곳과 구두 및 핸드백 등 잡화 수선실 1곳 등 총 3곳의 수선실을 운영하고 있다.
원래 수선실은 신상품 의류 구입 시 현장에서 빨리 제품을 수선해 고객에게 전달해 줄 목적으로 만들어졌으나 최근 그 범위가 확대된 것.
김영민 아이파크백화점 홍보마케팅팀 부장은 “백화점의 수선실의 가격대가 동네의 세탁소 및 수선집과 비슷할 뿐더러 백화점 서비스까지 받을 수 있는 점이 장점”이라며 “지난 해 말 20여 년간 명동에서 구두 등을 전문적으로 수선하는 전문가를 영입했다”고 말했다.
최근 신상품 수선은 정체를 보인 반면 중고 상품의 수선 서비스는 전체 매출의 30%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증가하고 있다.
백화점 수선실에 의뢰하는 중고제품은 적게는 2~3년 이상 사용한 제품부터 10년 넘게 사용한 제품까지 다양하다. 고객층도 예전에는 중년층이 많았지만 지금은 젊은층까지 확대됐다.
수선비는 제품 당 5000~1만원대로다. 최근 유행하는 패션 흐름에 맞게 수선하면 2~3만원정도 든다. 모피는 최고 50만원에 이른다.
한편 아이파크백화점은 지난해 동안 구입했던 남성셔츠 카라 및 카우스를 4월 19일까지 무료 수선해준다. 캘빈클라인진, 리바이스, 게스 등 청바지도 무료 수선 서비스를 실시한다.
김은진 기자 happyny777@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