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미국 정부의 압력으로 사퇴한 릭 왜고너 GM CEO의 후임으로 내정된 프리츠 헨더슨. |
프리츠 헨더슨 제너럴모터스(GM) 신임 최고경영자(CEO)가 경영 위기에 빠진 GM이 취할 수 있는 최선책은 파산일 수도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헨더슨 신임 CEO는 30일(현지시간) CNBC와의 인터뷰에서 "버락 오바마 미 행정부가 요구하는 구조조정의 강도가 커져 GM은 파산 신청을 고려 하고 있다"고 말했다.
미 정부는 GM과 크라이슬러가 제출한 구조조정 계획서를 거부하고 두 회사가 추가 자금을 지원받기 위해서는 앞으로 채권단, 노조 등과 논의해 새로운 구조조정 방안을 마련하라고 요구했다.
이에 헨더슨 신임 CEO는 "GM은 여전히 법정 밖에서의 구조조정을 선호한다"면서도 "GM에 대한 정부의 지원 수준으로 미루어 볼 때 파산을 통해 신속하게 구조조정하는 게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GM은 채권단과 주주, 노조의 양보와 고통분담을 이끌어 내 새로운 구조조정 계획안을 신속하고 치밀하게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전날 GM이 정부의 추가 지원을 받으려면 앞으로 60일 내에 개선된 구조조정안을 내놔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한편 크라이슬러에 대해선 이탈리아 자동차업체인 피아트와의 제휴 협상을 매듭지을 때까지 30일간 여유를 주기로 했다.
미 정부는 크라이슬러가 이 기간 안에 피아트와 협상을 마치면 최대 60억 달러(약 8조3000억원)를 지원할 예정이지만 협상이 결렬되면 추가 지원은 하지 않을 방침이다.
정은선 기자 stop1020@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