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사 입장에서는 판매하기 쉽고 고객도 간편하게 가입할 수 있는 온라인 펀드가 인기몰이를 하고 있다.
자본시장법 시행으로 증권사 일선 지점에서 펀드에 가입하려면 고객성향진단을 거쳐 투자확인서를 제출해야 하지만 온라인 펀드는 가입자가 이런 과정을 스스로 처리하기 때문이다.
가입 수수료가 지점에서 판매되는 펀드보다 최대 1%포인트 싸다는 것도 장점이다.
10일 증권업계와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새로 만들어진 온라인 펀드는 29개로 전체 149개 펀드 가운데 19.5%에 달했다.
지난해 3분기와 4분기 온라인 펀드 비중이 각각 6.5%와 8.5%에 그쳤던 것을 감안하면 두 배 이상 늘어난 것이다. 이에 따라 지난 1999년 국내에 처음 등장한 온라인 펀드는 지난해 말 기준 총 433개로 불어났다.
자산운용업계에선 자사 대표 펀드를 온라인 상품으로 바꿔 출시하는 사례도 잇따르고 있다.
예를 들어 온라인 펀드인 '한화꿈에그린주식1(e)'나 '동양매직국공채1C-e'는 지점에서 판매된 지 1년 이상 지난 후 온라인 전용 상품으로 다시 출시됐다.
특히 '알리안츠 GI 코스피200플러스알파파생상품B-1(C/C(E))'은 2002년 3월 첫 출시된 뒤 무려 7년이 지난 후 다시 나왔다.
온라인에서만 판매되는 전용 펀드도 속속 선을 보이고 있다.
한국투자증권은 지난 10일 온라인 전용 인덱스펀드인 '한국투자크루즈T2.8인덱스파생A1호'를 출시하고 본격적인 판매에 나섰다.
온라인 펀드가 늘어난 것은 펀드를 판매하는 은행이나 증권사가 까다로운 투자권유준칙을 피해 쉽게 상품을 팔 수 있기 때문이다.
펀드 판매사는 인터넷 홈페이지에 가입에 필요한 시스템만 만들어 놓으면 고객이 직접 상품을 매수하기 때문에 불완전판매에 따른 책임 소재를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아울러 온라인 펀드는 기존 펀드보다 가입 수수료가 훨씬 저렴하기 때문에 가입자 입장에서는 비용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이병훈 대우증권 연구위원은 "펀드에 대한 기본 지식이 있는 투자자라면 비용이 싼 온라인 펀드에 가입하는 것이 절대적으로 유리한 만큼 온라인 펀드 시장은 갈수록 확대될 것"이라며 "증권사 입장에서도 판매 실적을 늘릴 수 있어 관련 상품이 지속적으로 출시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온라인 펀드는 '삼성WTI원유파생종류형1C-E'나 'KB스타한국인덱스주식C-E'처럼 상품명 끝에 주로 'E'가 붙는다"며 "가입 전에 이같은 내용을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김용훈 기자 adonius@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