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 국제 번호체계 표준화 주도

그동안 선진국들이 독점해 온 전기통신 번호체계 국제표준화 분야에 우리나라가 진출해 전화번호의 미래 진화방향 등에서 표준 개발을 주도하게 됐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는 지난달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국제전기통신연합(ITU-T) 스터디디그룹2(SG2) 회의에서 서비스융합표준연구팀 안재영 전문위원이 "IP 기반 시스템의 도래에 따른 번호체계의 진화 및 융복합 현상에 대해 연구할 것"을 제안해 관련 대응 작업반을 구성하고 의장직에 선임됐다고 14일 밝혔다. 
 
이에 따라 해당 작업반에서는 ETRI 안재영 의장 주도로 향후 국제 전기통신 번호체계의 미래를 선도하는 표준 권고안으로 '차세대 네트워크(NGN)와 IP 기반 융복합 시스템의 도래에 따른 번호 자원 관리의 진화 프레임워크' 및 '미래의 번호체계 진화 로드맵' 등 2건을 개발하게 됐다. 
 
해당 작업반 및 표준 권고안 문서들은 향후 IP 기반 차세대 통신망의 도입 과정에서 일어나는 번호체계의 변화 및 현행 번호체계의 능력을 넘어서는 각종 신기술 및 비즈니스모델의 사례를 연구해 대응방향을 정리하게 된다.
 
이를 통해 ETRI는 '국제 번호자원 할당' 및 '자원 관리'와 관련한 국제 표준의 진화 방향을 주도적으로 제시할 예정이다.
 
최근 국제 번호 자원할당 및 관리에 있어 쟁점이 되고 있는 기술 분야인 가상 이동통신망 사업자(MVNO), 항공 및 선박 전화, 인접 국경 국가간 월경서비스, 글로벌 서비스 이동통신 번호 등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개발함으로써 한국 주도로 국제 번호체계 표준화의 주도권을 장악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김영민 기자 mosteven@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