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발 금융위기가 실물경기 침체로 이어지며 보험가입 수요가 감소하고 있다는 설문결과가 발표됐다.
보험연구원이 코리아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2월 동안 전국 만 20세 이상 12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해 14일 발표한 결과(최대 허용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2.83%)에 따르면 생명보험과 손해보험 상품에 가입할 의사가 없다는 답변이 68.3%, 43.5% 였다.
이는 지난해 같은 조사를 했을 때보다 생명보험은 18.1%포인트, 손해보험은 5.7%포인트 각각 상승한 것이다. 다만 일반손해보험의 경우는 1.3%포인트 상승하며 대조를 이뤘다.
개인별 보험가입률은 92.0%로 지난해 대비 0.9%포인트 낮아졌다. 세부적 가입률은 생명보험이 81.8%, 손해보험은 59.5%였다.
가구당 보험가입률은 97.4%로 지난해 대비 0.3%포인트 하락했다.
미혼자의 21.8%는 보험 미가입자인 것으로 나타났고 자녀가 없는 경우도 미가입률이 19.4%에 이르렀다. 연 3000만원 미만 소득자는 생보는 4명 중 1명, 손보는 2명 중 1명이 미가입했다.
보험가입 이유에 대한 질문에는 위험보장과 노후자금 마련이란 응답이 많았고 보험회사 선택시에는 상품경쟁력과 브랜드 신뢰성을 본다는 답변이 많았다.
경제가 안 좋을 때 가장 먼저 해지하는 금융상품은 예적금이 67.8%, 펀드 등 투자상품 17.3%이며 보험상품은 6.2%를 기록했다. 이는 보험상품이 해약시 환급금이 적고 재가입할 때 조건이 엄격한데다 연령이 높아질수록 보험료가 증가하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보험해약시에는 저축성상품(23.2%)과 변액보험(21.6%)을 우선 고려하는 것으로 나왔다.
또, 신규 가입 의향은 예적금이 77.9%, 투자상품 9.9% 보험은 5.1%에 그쳐 보험이 다른 금융상품에 비해 신규 수요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김유경 기자 ykkim@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