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주주 변경이나 대규모 자금조달이 빈번한 기업일수록 주식시장에서 퇴출당할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금융감독원은 상장폐지가 확정된 곳을 포함해 상장폐지사유가 발생한 71개 상장사 가운데 통화옵션 상품인 키코 관련 기업을 제외한 64개사에 대해 비재무적 특징을 분석한 뒤 이런 결과를 얻었다고 밝혔다.
상장폐지사유 발생 기업 69%(44개사)는 이달까지 1년 동안 최대주주가 1회 이상, 30%(19개사)는 2회 이상 바뀐 것으로 조사됐다.
상장폐지사유 발생 기업 수(유가증권시장 상장 11개사 제외)는 코스닥시장 전체에서 5%에 불과했지만 이들 기업이 이달까지 2년 동안 조달한 자금은 19.5%에 달했다.
55%(35개사)는 횡령ㆍ배임 혐의 발생 공시를 했고 81%(52개사)는 미공개정보이용을 포함한 불공정거래 혐의에 연루됐다.
96%(54개사)는 작년 순손실을 기록했고 84%(47개사)는 2년 연속 적자를 냈다.
금감원 관계자는 "상장폐지사유 발생 기업은 취약한 재무구조에도 유상증자로 자금을 조달해 과도한 타법인주식 취득이나 자금 대여를 해 왔다"고 말했다.
금감원은 이번 분석 결과를 공시심사와 불공정거래조사, 회계감리에 활용할 방침이다.
김용훈 기자 adonius@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