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 재건축 아파트값 상승세가 주변으로 확산되면서 버블세븐지역이 지난주 일제히 오름세를 나타냈다. 이는 지난 2006년 12월 이후 첫 상승으로 무려 2년 4개월 만이다.
강남권은 오름폭이 다소 둔화된 모습이다.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폐지 유보와 소형평형 의무비율 유지 가능성이 커지면서 강남권을 중심으로 최근 매수세가 급격히 위축됐기 때문.
강남 재건축 시장이 과열양상을 빚자 재건축 규제를 다시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어 부동산 시장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19일 부동산정보업체 스피드뱅크가 지난주(12~18일) 서울과 수도권 아파트 매매가 변동률을 조사한 결과 서울 0.15%, 경기 0.09%, 신도시 0.06% 상승했고 인천은 0.02%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재건축은 서울이 0.56% 올라 전주(0.66%)보다 상승폭이 약간 둔화된 모습이다. 경기는 0.37% 상승해 전주와 같은 변동률을 보였다.
서울의 경우 강남 아파트값 상승세는 소폭 둔화됐지만 강북 아파트값 하락세가 멈춰서면서 전체적으로 오름폭이 커졌다. 구별로는 강동구가 1.29% 올라 지난주 가장 많이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강남구(0.43%), 송파구(0.38%), 서초구(0.35%), 양천구(0.26%)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가운데 서초구는 강남3구 중 유일하게 전주보다 오름폭이 커졌다. 특히 구반포주공 재건축아파트의 호가 상승이 압도적이다.
반면 개포주공, 대치동 은마 등 가격변화가 매우 민감한 주요 재건축 아파트들은 정책 움직임이 강남 집값 상승을 억제하는 방향으로 흘러가면서 매수세가 급격히 위축되고 있다. 다만 매도자들이 경기회복 기대감에 호가를 고수하고 있는 상황이어서 가격상승은 지속되고 있다는 것이 현지 중개업자들의 설명이다.
재건축 호가 상승세가 지속되면서 중대형 일반아파트 오름세도 최근 가속화되고 있다.
그 밖에 영등포구(0.12%), 강북구(0.09%), 강서구(0.07%) 등도 오름세를 보였으나 상승폭은 강남권에 비해 다소 저조하다. 강서구는 지하철 9호선 개통이 한 달 앞으로 다가오면서 최근 회복추세를 나타냈다.
경기는 과천시(0.74%)가 재건축 강세에 힘입어 상승을 주도했다. 매수세는 약간 주춤한 상황이나 매도자 기대감으로 인해 매물이 대부분 회수된 상태다.
이어 성남시(0.26%), 포천시(0.18%), 수원시(0.12%), 고양시(0.11%), 안양시(0.10%), 용인시(0.10%), 구리시(0.09%) 순으로 나타났다.
파주시(-0.36%), 의정부시(-0.23%), 김포시(-0.13%)는 하락했다. 세 지역 모두 2주 연속 내림세로, 거래 실종과 호가 조정을 반복하고 있는 모습이다.
신도시는 전 주보다 오름폭이 커졌다. 지역별로는 평촌이 0.30% 올라 올 들어 첫 상승세를 기록했다. 강남과 분당 일대 거래시장이 순조로운 출발을 보이면서 평촌지역도 매수세가 빠르게 회복되고 있다.
인천은 중구가 0.13% 상승하면서 낙폭이 다소 둔화됐다.
작년 가을 이후 좀처럼 약세를 면치 못했던 서울 강북권 전세시장도 봄 이사철 막바지에 이르면서 서서히 회복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지난주 서울 및 수도권 전셋값 변동률은 서울 0.01%, 경기 0.06%, 신도시 0.16%, 인천 -0.04%를 나타냈다. 서울과 경기는 전주보다 오름폭이 감소한 반면 신도시는 증가했다.
서울은 강동구(0.19%), 양천구(0.14%), 강남구(0.11%) 순으로 오름세를 나타냈다. 반면 관악구(-0.18%)는 내렸다.
강남구는 가격이 저렴한 일부 단지만 거래가 이뤄지고 있다. 봄 이사철이 지나가면서 전셋값 상승세는 둔화되는 모습. 강북구는 전반적으로 매물이부족한 상황이다. 다만 오른 가격이 아닌 적정 시세 수준에서 거래가 이뤄지고 있어 상승세를 나타내지는 않고 있다.
노원구는 인기지역을 중심으로 수요층의 유입이 꾸준하다. 특히 중소형의 인기가 매우 높은 편. 한편 관악구는 거래가 전반적으로 부진하다. 특히 전세보다는 월세 문의가 많아 시세가 하락하는 추세다.
경기는 하남시(0.51%), 이천시(0.36%), 의왕시(0.25%), 구리시(0.23%), 안양시(0.22%) 순으로 올랐다.
하남시는 연초에 출시된 급전세 매물들이 대부분 소진됨에 따라 전반적으로 매물 품귀현상이 두드러지는 모습이다.
신도시는 봄 이사철을 지나면서 매물이 대부분 소진된 상태로 수요층이 꾸준히 유입돼 오름세를 나타냈다. 지역별로는 중동(0.23%), 산본(0.22%), 평촌(0.18%), 분당(0.17%) 순으로 올랐다.
인천시는 남구(-0.31%)만이 유일하게 내렸다. 용현동의 경우 신규아파트 입주로 기존 단지들의 물량 적체가 심각하다.
차현정 기자 force4335@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