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닥 부실 상장사가 회사 이름을 바꾸는 사례가 크게 늘어 투자에 앞서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19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들어 17일까지 상호 변경을 공시한 코스닥 상장사는 모두 49곳에 달한다.
상호 변경 이유로 내세운 것은 기업 이미지 제고이다.
그러나 부실기업 이미지를 감추기 위해 간판만 바꾸는 사례가 많은 것으로 증권가는 보고 있다.
특히 퇴출 위기를 간신히 모면한 기업이 회사 이름을 바꾸는 사례가 잦았다.
감사의견 거절 사유가 해소돼 퇴출을 면한 그랜드포트는 이달 사명을 '룩소네이트'로 변경했다. 상장폐지 사유가 해소된 아이오셀도 '아이드림'으로 간판을 바꿨다.
루멘디지탈은 '디보스'로 사명을 변경했고 관리종목에 지정됐다가 해제된 썬트로닉스는 '유퍼트'로 이름을 바꿀 예정이다.
뉴켐진스템셀(옛 온누리에어)은 매출 부풀리기 의혹으로 상장폐지 대상으로 거론되자 상호를 바꿨지만 결국 퇴출이 결정됐다. 팬텀엔터테인먼트그룹도 '클리핑'으로 이름을 고쳤지만 퇴출 대상에 포함됐다.
갑자기 이름을 바꾼 회사에 대해선 경영 상태를 미리 확인하고 투자해야 한다는 조언이다.
이영곤 하나대투증권 연구원은 "상호를 변경한 회사는 투자하기 전에 과거 정보를 자세히 확인해야 한다"며 "바뀐 이미지만 보고 투자했다고 자칫 큰 손실을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연구원은 "요즘은 정부 정책인 녹색성장 테마에 편승해 이름을 바꾸는 경우도 많다"며 "하지만 자금 사정이나 기술력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성과를 내기 어렵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용훈 기자 adonius@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