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9 재보선 이후 인선 본격화…지경부 등 3∼4개 경제 부처
청와대가 4.29 재보선 이후 5∼6월께 국정 쇄신차원에서 지식경제부 등 3∼4개 부처 개각을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한나라당에서는 이르면 5월 한승수 총리를 비롯한 대폭 개각을 기대하고 있어 개각 폭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19일 “4·29 재보선 선거 이후 지경부, 국토해양부 등 경제관련 부처 소폭개각을 통해 정부의 '경제살리기' 의지를 재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말해 개각을 추진 중임을 내비쳤다.
아직 뚜렷한 후보군의 윤곽은 드러나지 않았지만 청와대가 인선작업에 본격 착수한 것으로 전해져 재보선 이후 인선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전문성과 실무 능력, 국정철학에 대한 이해도를 중요시 하는 이명박 대통령 특유의 인사 스타일상 개각 시기는 6월이 유력하다. 재보선 이후 5월 후보 검증에 심혈을 기울여 선정한 뒤 6월 임시국회 때 인사청문 일정을 밟는다는 수순이다.
청와대는 이번 개각을 통해 경제위기 극복과정에서의 부진과 혼선을 떨쳐버리는 한편 시대적 과제인 경제살리기에 박차를 가할 것으로 보인다.
이번 개각의 1순위는 이윤호 지경부 장관이다. 지경부는 지난해 연말부터 정치권과 청와대를 중심으로 흘러나온 ‘경제팀 교체’ 대상 중 하나로 꼽혀왔다.
잇단 정책 실패와 혼선, 산하기관의 비리로 이 장관의 리더십이 도마에 올랐기 때문이다.
지경부가 올 1월 작성한 ‘주요 업종 구조조정 방향’ 보고서에는 자동차업체를 현행 5개에서 3개로, 대형조선소는 7개에서 5개로, 일괄제출소는 1∼2개로 줄여야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는데 이는 현실과 동떨어졌다는 업계의 비판을 받았다.
노후차량 교체 시 세금감면안을 놓고도 24일째 혼선이 이어졌고, 지난 1월 지경부 기술표준원 소속 사무관이 업체로부터 1억2000여만원을 받은 혐의로 구속되는 등 산하기관의 잇따른 비리 속출로 이 장관의 입지가 좁아진 상태다.
한 국회 지경위 소속 한나라당 의원은 “이 장관의 업무자질도 문제지만 1년 이상 했으면 많이 했다는 게 의원 대다수의 생각”이라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이 장관 후임으로 산업자원부 장관을 역임한 이희범 전 무역협회장과 이석채 KT회장, 한나라당 최경환 의원 등이 거론되고 있다.
정종환 국토해양부 장관의 교체 가능성도 거론된다. 청와대는 정 장관의 4대강 정비 사업 관련 업무 추진력에 문제가 있다고 보고 있다.
국토부가 지난 3월 경인운하 조기착공에 본격시동을 거는 등 물류·항만·여객 사업과 창고 구축 등에 속도를 내고 있지만 정작 현 정부가 주력해야 할 4대강 및 SOC 사업은 소홀히 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후임 장관으로는 지난해 한나라당 경선 당시 경선대책위에서 정책자문으로 활동했던 류우익 전 대통령실장이 오르내리고 있다.
한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류 전 실장이 ‘4대강 정비’ 사업에 주력할 것”이라고 했고, 이 대통령의 핵심 조직인 안국포럼 출신 강승규 의원은 “4대강 살리기에 속도를 내 이 사업을 현정부 임기내 마무리 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명환 외교부 장관 등 ‘외교안보라인’에 대한 교체 가능성도 제기된다.
북핵 위기가 다시 고조되고 있는 상황에서 노무현 정부 때는 통일부 장관이 전권을 휘둘러 문제였다면, 이번에는 모든 권력이 유 장관에게 모아지면서 문제를 낳고 있는 만큼 인적쇄신이 불가피하다는 게 여권 관계자들의 공통된 전언이다. 최근 대량살상무기 확산방지구상(PSI) 참여 발표 시기를 놓고 외통부와 통일부가 서로 이견을 조정하지 못해 우왕좌왕하는 모습이 대표적인 예다.
송정훈 기자 songhddn@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