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업계는 9~10개 그룹이 이번에 불합격 판정을 받아 채권단과 재무구조 약정을 체결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22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주채권은행들이 2008회계연도 재무제표를 기준으로 45개 주채무계열에 대한 재무구조를 평가한 결과 7개 그룹이 잠정적으로 기준점에 미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외에 2~3개 주채무계열도 최종 논의과정에서 불합격 점수를 받고 채권단과 재무구조 개선 약정을 맺을 가능성이 있다.
산업은행이 담당하고 있는 12개 주채무계열 중 4개 안팎의 계열이 불합격 점수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또 우리은행이 주채권은행인 17개 계열 중에서는 1~2개 계열이 불합격 판정을 받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주채무계열은 금융기관의 빚이 많아 주거래은행의 관리를 받는 대기업 집단을 말한다. 금융감독원이 매년 금융권 총 신용공여액의 0.1% 이상 차지하는 그룹을 주채무계열로 선정한다.
채권은행들은 이번 심사에서 부채비율과 이자보상배율, 총자산회전율, 매출액영업이익률 등 4가지 기준을 토대로 주채무계열의 재무상태를 평가했다.
이번 평가에서 최종적으로 기준 점수에 미달해 불합격 점수를 받는 곳들은 채권단과 재무구조 약정을 맺고 강도 높은 구조조정을 추진해야 한다.
다만 일부 주채무계열은 이미 채권단과 이행약정을 맺고 자금흐름을 개선하고 있어 이번에 불합격을 받더라도 별 영향을 받지 않을 전망이다.
채권은행 관계자는 "부채비율이 높다고 모두 불합격 점수를 받는 것은 아니다"며 "부채비율이 높더라도 환율상승 등의 일시적인 요인이나 업종 특성상 어쩔 수 없는 경우라면 문제가 되지 않는 반면 부채비율이 낮더라도 일시적인 유동성 문제가 있다면 불합격 점수를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채권은행 고위 관계자는 그러나 "주채무계열이 불합격 판정을 받았다고 워크아웃이나 퇴출 대상이 되는 것이 아니다"며 "경영 여건 악화로 재무구조상에 나타난 일시적인 문제를 개선하기만 하면 된다"고 강조했다.
주채권은행은 내주 초까지 45개 주채무계열에 대한 재무구조 평가를 매듭짓고 내달 중 불합격 계열과 재무구조개선 약정을 체결할 예정이다.
인터넷뉴스팀 news@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