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무리한 사업추진으로 연일 도마 위에 오르고 있다. 문제의 요지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행정으로 여론의 '뭇매'를 자청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우선 성동구 뚝섬4구역 매각 문제다. 서울시는 지난 2005년 부동산개발회사 피앤디홀딩스가 4440억원에 매입했다가 잔금 미납 등으로 인해 서울시로 소유권이 다시 넘어온 이 부지를 재매각에 들어갔다.
재매각 금액은 3800억원선으로 3.3㎡당 6700만원 정도다. 이는 2005년 매각금액인 4440억원의 77~90% 수준이다.
문제는 매각대금과 시기다. 서울시의회 의원들조차 건설경기가 회복 되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서둘러 해당 부지를 매각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의견을 제시했었다. 또 수지타산이 맞지 않아 사업을 포기한 상황에서 비슷한 가격에 부지 매입에 나설 기업이나 투자자가 없다는 것이 관련 전문가들의 지적이었다.
하지만 서울시의 입장은 완강하다. 서울시는 이번에 매각이 불발되더라도 가격을 낮추지 않고 매입 수요가 생길 때까지 기다리겠다는 입장이다.
이 같은 상황은 서울시가 1조7000억원을 들여 조성한 송파구 문정동 동남권유통단지(이하 가든파이브)에서도 벌어지고 있다.
가든파이브는 현재 3차 추가공급까지 마친 상태로 계약률은 여전히 17%에 머물고 있다. 서울시는 내달 진행될 4차 추가공급에서 공급대상을 이주신청을 하지 않은 청계천상인 6만여명으로까지 확대했지만 당초 기대했던 60~70%의 계약률은 예상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문제는 상인들과는 대화채널이 완전히 차단돼 있다는 것이다. 상인들은 여전히 "서울시가 탁상행정에만 치우쳐 상인들의 요구에는 여전히 귀를 닫고 있다"고 토로하고 있다.
서울시의 입장에선 물론 이 것이 최선의 방법일 수는 있다. 하지만 문제의 본질을 들여다본다면 좀 더 획기적인 대안을 찾을 수 있지 않을까.
권영은 기자 kye30901@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