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이 100억원 미만 소규모 펀드를 청산해 상품 난립에 따른 부작용을 막기로 했다.
그러나 펀드 판매사와 투자자로부터 강한 반발을 살 것이란 우려도 적지 않다.
29일 금융당국과 증권ㆍ운용업계에 따르면 금융투자협회는 소규모 펀드 청산을 위한 태스크포스(TF)를 발족했으며 근본적인 원인을 찾기 위한 외부 연구용역도 검토하고 있다.
현재 검토되는 퇴출 대상은 100억원 미만 펀드다.
자본시장법은 운용 효율성을 감안해 설정액 100억원 미만 상태가 1개월 이상 지속된 소형 펀드를 운용사 판단에 따라 청산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 법을 적용하면 청산 대상은 출시된 펀드 가운데 절반이 훨씬 넘는다.
등록된 펀드는 공ㆍ사모를 합쳐 24일 기준 9636개로 이 가운데 설정액 100억원 미만 펀드는 6372개로 66%를 차지한다.
설정액 10억원이 안 되는 펀드도 2413개로 25%에 이른다.
이는 관련 시장이 급성장하는 과정에서 폭발적으로 늘어난 펀드를 제대로 관리하지 않았기 때문으로 분석되고 있다. 사후관리 소홀이 펀드 난립으로 이어진 것이다.
소규모 펀드는 정상적인 종목 배분이 어려워 성과가 나쁘고 관리비용 부담만 늘려 업계 전반에 걸쳐 효율성을 해친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고 있다.
문제는 심각하지만 운용업계는 뚜렷한 해법을 못 찾고 문제를 방치하고 있는 상태다.
운용업계가 자율적으로 결의했던 소규모 펀드를 재등록에서 제외하는 방안도 결국 판매사와 협조 문제로 무산됐다.
은행을 중심으로 한 판매사는 소규모 펀드 청산에 부정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소규모 펀드라도 관리에 따른 부담 없이 판매보수를 꼬박꼬박 챙길 수 있어 굳이 청산할 이유가 없는 것이다.
소규모 펀드에 가입한 투자자로부터 반발도 무시할 수 없다.
100억원 미만 펀드 대부분이 손실을 내고 있어 원금 회복을 기다리는 투자자를 납득시킬 만한 대책이 뒤따라야 하기 때문이다.
증권업계 관계자는 "금투협이 소규모 펀드 청산에 나섰지만 판매사와 투자자로부터 동의를 구할 수 있는 묘안을 못 찾는다면 이번에도 실패할 공산이 크다"며 "운용사만이 아닌 금융업계 전반에 걸쳐 다각적인 논의가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당국은 아직 개입할 시기가 아니란 입장이다.
금융위원회 관계자는 "법적인 근거는 충분하지만 무리한 개입은 하지 않을 생각"이라며 "금투협이 TF를 통해 내놓을 결과를 검토한 뒤 협조할 방침"이라고 전했다.
김용훈 기자 adonius@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