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건설 최저... 작년 대비 30% ↓

올해 1분기 주택건설 인·허가 실적이 작년 대비 약 30% 줄어들며 최저수준을 나타냈다. 통상 주택은 인·허가 후 3년 정도 뒤에 입주가 시작되므로 2~3년 후, 수급불안에 따른 부동산 시장 불안이 우려된다. 

국토해양부는 4일 올해 1분기 주택건설 인·허가수가 총 3만3944가구라고 밝혔다. 이 중 공공부문은 6804가구, 민간부문은 2만7140가구였다. 

이는 작년 동기 대비(4만8297가구) 29.7% 줄어든 수치다. 특히 지난해는 1998년 이후 10년만에 주택건설 인·허가수가 최악을 기록했는데 이보다도 낮은 물량을 기록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에 1만7649가구가 공급돼 지난해 동기보다 5.2% 감소했다. 지방은 1만6295가구로 45.1% 줄어들었다. 지방의 감소폭이 큰 것은 적체되어 있는 미분양 아파트가 여전히 해소되지 못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수도권에서도 인천(5286가구)은 38.9% 늘었지만 서울(3872가구)은 23.2%나 감소했다.

유희석 기자 xixilife@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