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공한 기업들 DNA에는 뭐가 들어있을까?

성공한 기업들의 공통점이 ‘창조적 기술, 집중화, CEO의 솔선수범’인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상공회의소는 7일 ‘사례로 보는 한국형 히든챔피언’ 보고서를내 성공 기업의 경우 ‘창조적 기술(Creative Technology), 집중화(Concentration), CEO의 솔선수범’ 등 3가지 공통점을 갖고 있다고 밝혔다.

‘히든 챔피언’은 독일의 석학 헤르만 지몬의 저서로, 대중에게 알려지지 않았지만 전 세계시장을 지배하고 있는 기업들을 지칭한 말이다.

보고서는 ‘창조적 기술’의 예로 DVR 전문 벤처기업인 ㈜아이디스를 들었다. 이 회사는 1997년 창업 후 아날로그 영상저장장치를 디지털화한 DVR 개발에 성공했다. 매년 매출액의 10%이상을 R&D에 투자하고 있다. GE·소니·마쯔시다·BOSCH 등을 누르고 DVR 업계 세계 1위에 올라설 정도로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다.

‘집중화’의 예로는 선일금고제작㈜와 ㈜서울금속을 꼽았다. 가정용·사무용 금고를 제작하는 선일금고제작은 1973년 설립 이후 36년간 금고만 연구·개발해온 금고전문기업이다. 전 세계 80여 국가에 수출해 매출액의 80%이상을 얻고 있다.

서울금속은 1981년 설립 후 28년간 초정밀 파스너(fastener, 연결부품 세트)만 제작해 왔다. 나사 가공기술을 국내 최초로 냉간단조 공법을 적용한 전조기술로 바꿔 국산화에 성공했다. 특허 등 산업재산권을 24건이나 보유하고 있다. 현재 삼성·LG·소니·파나소닉 등 국내외 유명 대기업 제품에 서울금속 파스너가 들어가지 않은 곳이 없다.

‘CEO의 솔선수범’은 대모엔지니어링㈜·㈜메타바이오메드가 꼽혔다. 건설기계 어태치먼트(Attachment, 연결장치)를 생산하는 대모엔지니어링은 1989년 설립 이후 전 세계 40여 개국에 판매망을 확보하고 있다. 매출액의 65%를 수출하고 있다.

수술봉합사·치과재료를 만드는 메타바이오메드는 1990년 설립 이후 해외진출에 주력해 전 세계 90여국에 수출하고 있다. 매출의 95%를 해외시장에서 거두고 있다. 미국에 현지법인 메타바이오메드 Inc.를 설립하고 치과용 재료를 생산해 현지시장을 공략, 치과용 근관충전기 시장에서 전 세계 1위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우수사례기업과 같이 기초체력을 충실히 갖춰 현재의 위기를 극복하고 핵심역량을 높이는 것이 히든 챔피언이 될 수 있는 길”이라고 강조했다.

김훈기 기자 bom@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