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상 국내 최대 정유사인 SK에너지와 2위 업체인 GS칼텍스 등 상위 2개 정유사의 기름 값이 조금 더 높고, 에쓰오일(S-OIL)과 현대오일뱅크 등 하위 2개 정유사의 기름 값이 더 낮았는데, 막상 뚜껑을 열어보니 반대로 나온 탓이다.
8일 정유업계와 주유소업계, 지식경제부에 따르면 4월 다섯째 주(4.26∼5.2)에 대리점과 주유소, 일반 판매소에 공급한 주간 평균 가격(세후)을 조사한 결과, 보통 휘발유는 SK에너지가 리터당 1천397.89원으로 가장 낮고, 에쓰오일(S-OIL)이 리터당 1천416.35원으로 가장 높았다.
이어 근소한 차이로 GS칼텍스가 리터당 1천416.30원이었고, 현대오일뱅크는 리터당 1천413.79원이었다.
차량용 경유는 GS칼텍스가 리터당 1천178.00원으로 가장 높고, SK에너지가 리터당 1천161.13원으로 가장 낮았다.
현대오일뱅크는 리터당 1천175.77원이었고, 에쓰오일은 리터당 1천175.09원이었다.
하지만 이런 결과에 대해 주유소업계는 납득할 수 없다며 어리둥절한 표정을 짓고 있다.
한 주유소 관계자는 "보통 SK에너지와 GS칼텍스의 공급가격이 5∼10원 정도 높고, 에쓰오일과 현대오일뱅크의 공급가격이 5∼10원 정도 낮았는데, 이번에 나온 가격공개 결과는 현실과는 다르다"며 통계상의 왜곡 아니냐고 의문을 나타냈다.
누리꾼의 반응도 비슷하다.
ID '상그러운햇살님'은 포털에 올린 글에서 "SK에너지가 제일 비싸게 팔던데 에쓰오일이 제일 비싼 것처럼 나왔다"며 이해할 수 없다는 태도를 보였다.
실제로 4월 다섯째 주 가격을 기준으로 한국석유공사가 발표한 주유소 판매가격(소비자 가격)을 보면 SK에너지가 가장 비싸고, 에쓰오일이 가장 싸게 나와 소비자가 피부로 느끼는 체감가격을 뒷받침했다.
이에 따르면 보통 휘발유는 SK에너지가 리터당 1천560.58원으로 가장 높고, 이어 GS칼텍스가 리터당 1천554.17원으로 뒤를 이었다. 에쓰오일은 리터당 1천541.36원이었고, 현대오일뱅크는 리터당 1천541.09원으로 가장 낮았다.
차량용 경유도 비슷했다.
GS칼텍스가 리터당 1천344.65원으로 가장 높고, 이어 SK에너지가 리터당 1천341.33원으로 두 번째로 높았다.
에쓰오일이 리터당 1천315.73원으로 가장 낮고 현대오일뱅크는 리터당 1천316.06원이었다.
이에 대해 정유업계는 회사별로 유통구조에서 차이가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SK에너지는 주유소와 직접 거래하지 않고 유통단계의 중간에 대리점 격인 SK네트웍스를 두고 SK네트웍스를 통해 주유소에 공급하는 유통구조로 되어 있다. 이 과정에서 SK네트웍스는 리터당 10원가량의 유통차액을 붙여 주유소에 재판매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런데 이번에 SK에너지가 공개한 가격은 SK네트웍스에 넘기는 출고가격이며, SK네트웍스가 주유소에 판매하는 가격이 아니다.
따라서 SK에너지의 공급가격에는 SK네트웍스의 유통차액이 빠져 더 싸게 보이는 것이다.
이에 반해 GS칼텍스, 에쓰오일, 현대오일뱅크 등은 주유소와 직거래하는 판매량이 전체의 70% 이상에 이른다.
그리고 이번에 공개한 가격은 주유소에 넘길 때 자체적으로 붙인 유통이윤을 더한 판매가격으로 유통수수료가 붙어 더 비싸게 보이는 것이라는 설명이다.
SK에너지 관계자는 "석유제품에 대한 가격정책이나 마케팅, 유통정책은 회사별 특성에 맞게 이뤄진다"며 "특히 소비자 판매가격은 업체별로 편차가 발생할 수밖에 없고, 이 때문에 지방 권역별로, 브랜드별로 주유소 판매가격이 모두 다르게 나타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인터넷뉴스팀 news@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