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KAIST 김상욱 교수(왼쪽)와 정성준 연구원 |
KAIST 신소재공학과 김상욱(37) 연구팀은 11일 스스로 나노패턴를 형성하는 고분자를 큰 면적에서 원하는 형태로 배열하는 방법으로 나노선을 만들 수 있는 방법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스스로 나노패턴를 형성하는 고분자를 마이크로패턴 안에 채워 넣어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스스로 정렬된 나노구조를 만들고, 이를 틀(template)로 사용해 알루미늄 금속나노선과 실리콘 반도체 나노선을 큰 면적에서 만들 수 있음을 보여 줬다. 실제로 이 과정에서 알루미늄 나노선의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는데도 성공했다.
이 연구결과는 지난 7일 나노기술 분야의 세계적 권위지인 '나노 레터스(Nano Letters)' 온라인 판에 실렸으며 관련기술은 국내특허 출원중이다.
나노선은 트랜지스터, 메모리, 화학감지용 센서등 첨단 전지전자 소자개발을 위한 가장 핵심적인 요소로 평가받고 있다. 그러나 기존공정으로는 나노크기의 틀을 만드는 비용이 비싸고 많은 시간이 소요돼 새로운 제작 기술이 요구됐다.
연구팀은 이번에 개발한 신기술이 여러 층으로 구성된 나노트랜지스터 제작 및 바이오센서 제작 등에 폭넓게 적용될 것으로 전망했다.
최소영 기자 youth@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