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진그룹의 ‘나보이 프로젝트’가 이명박 대통령의 우즈베키스탄 방문에 맞춰 경제협력의 견인차 역할로 주목받고 있다.
12일 한진그룹에 따르면 올해 초부터 본격 추진 중인 우즈베키스탄 ‘나보이 프로젝트’에서 한진그룹은 장기적으로 연간 100만 톤 이상의 화물처리 능력을 갖춘 나보이공항 시설을 현대화 한다. 또 합자 법인 설립을 통한 범 중앙아시아 육상 네트워크 구축 등의 역할을 담당한다.
지난 11일 이명박 대통령과 이슬람 카리모프 우즈베키스탄 대통령이 가스∙유전∙광구 등 에너지∙자원 분야 및 산업∙금융∙인프라∙물류 부문에서 협력을 확대하는 협정을 체결했다.
한진그룹은 이 같은 경제개발을 위한 기반을 조성하는 물류인프라 구축작업에 자사의 ‘나보이 프로젝트’가 큰 역할을 했다는 설명이다.
특히 양국간 경제협력은 나보이 공항 물류허브 구축 프로젝트가 본격화되면서 더욱 탄탄해질 것으로 한진측은 기대하고 있다.
대한항공은 오는 27일부터 기존 인천~나보이~밀라노 화물노선(주 3회)에 인천~나보이~브뤼셀 노선을 신설한다.
이를 통해 그동안 항공화물의 불모지나 다름 없던 우즈베키스탄 나보이 공항을 본격적인 중앙 아시아 물류 허브로 성장시킨다는 전략이다.
대한항공은 “화물노선 증편으로 태국, 인도, 러시아 등 중앙 아시아와 CIS 지역의 유럽행 항공화물을 나보이를 경유해 유럽지역으로 수송하게 된다”며 “나보이 공항 허브화 및 양국간 경제협력 증진에도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한진그룹은 지난 3월 현지 육상운송업체인 ‘센트럴 아시아 트랜스’와 합자법인 설립 계약을 체결해 현지진출을 강화하고 있다. 또 이달 말부터 총 100여대의 트럭을 이용해 중앙아시아 지역의 트러킹(Trucking) 노선망을 강화하는 등 나보이 공항의 허브화 프로젝트에 본격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박상권 기자 kwon@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