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하루 평균 교통량이 전년 대비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지난 5년간 자동차 등록대수는 꾸준히 증가해 고유가 등의 원인으로 자동차 이용률이 감소한 것으로 분석된다.
12일 국토해양부가 발간한 '2008년 도로 교통량 통계연보'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주요도로 하루 평균 교통량은 1만2125대로 전년 대비(1만2373대) 보다 2.0% 줄어 들었다.
이는 지난해 세계 금융 위기, 고유가 등의 원인으로 차량 이용이 감소했기 때문으로 국토부는 풀이했다. 반면 자동차 등록대수는 최근 5년간 3%씩 꾸준히 늘어 왔다.
통계연보에 따르면 하루 평균교통량은 지난 2004년 이후 계속 증가추세였으나 지난해 처음으로 감소했다. 2004~2008년의 평균 하루평균교통량 증가율은 0.8%이다.
유가가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오르던 지난해 6월과 7월 일반국도 교통량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6.9%, 5.4%나 감소했다. 고유가가 자동차 이용률에 영향을 끼친 것이다.
특히 6월과 7월의 주말교통량은 전년동기대비 각각 10.2%, 7.8% 줄어들었다.
도로등급별로는 고속국도와 일반국도의 교통량이 각각 3.1%, 3.8% 감소했다. 그러나 지방도는 0.7% 소폭 상승했다.
도로별 차량이용 비율을 살펴보면 고속국도가 39%, 일반국도 39%, 지방도 22%로 여전히 고속국도와 일반국도가 지역 간 교통 처리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차종별로는 승용차, 화물차의 교통량이 각각 2.0%, 2.6% 줄어든 반면 대중교통인 버스는 2.5% 증가했다.
지역별로는 경기도의 하루 평균 교통량(3만3000대)이 다른 지역보다 3배 이상 많았다. 일평균 교통량이 가장 많은 도로는 2007년과 마찬가지로 자유로 성산대교-장항IC 구간(26만3786대)이 차지했다.
요일별로는 토요일, 계절별로는 5월과 8월의 교통량이 가장 많았다. 또 각 지방 축제가 해당지역 교통량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됐다.
유희석 기자 xixilife@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